폐렴 의심되서 검사하고 결과는 다음주에 나오는데요
사람들이 왔다갔다하는 곳에서 일을 합니다
폐렴도 전염성이 있나요?
있다면 회사에 이야기를 미리 하는게 맞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남겨봅니다
안녕하세요.
폐렴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따라 전염력이 달라집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폐렴은 대부분 전염력이 있습니다. 주로 기침, 재채기로 전염되는 비말 감염이 흔하지만 호흡으로 멀리 전염되는 공기 감염도 가능합니다.
반대로 흡인성 폐렴이나 화학 물질 노출에 의한 폐질환은 대부분 전염되지 않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폐렴의 원인에 따라 다르겠으나 세균 감염이 원인인 경우 비말을 통해 전파 될 수 있고 특히 주변의 노약자나 면역력 저하자에게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폐렴으로 확진되더라도 격리가 필요하진 않겠으나 마스크를 착용하고 약물 치료를 잘 받을 것을 권합니다.
1명 평가폐렴 또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해서 하기도가 감염이 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인 만큼 전염성이 있습니다. 물론 감기와 같은 상기도 감염 만큼 전염력이 매우 강하거나 하지는 않지만 폐렴도 타인에게 옮기는 것이나 타인에게서 옮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폐렴은 원인에 따라 전염성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세균성 폐렴(폐렴구균, 마이코플라즈마)이나 바이러스성 폐렴(독감, 코로나19 등)은 전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흡인성 폐렴이나 염증성 반응으로 발생한 폐렴은 전염되지 않아요.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감염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등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전염성이 있는 폐렴으로 판정될 경우, 주변 사람들에게 감염될 위험이 있으므로 회사에 알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환경에서 근무한다면, 전염 예방을 위해 병원 권고를 따르는 것이 좋아요. 하지만 전염성이 없는 폐렴이라면 회사 업무에 지장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 검사 결과를 확인한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현재로서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증상을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발열, 호흡곤란, 기침 등이 심해지면 즉시 병원을 재방문하여 추가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