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호로비치치불연속면에 대해 알려주세요.
어린시절 지구과학 시간에 맨틀과 지각 사이에 모호로비치치불연속면 줄여서 모호면이라고 하는 층이 있다고 배웠는데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Mohorovičić discontinuity, 줄여서 모호면)은 지구의 지각과 맨틀의 경계면입니다. 지진파의 속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합니다. 해령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암석권 내에 위치하며, 해령에서만 암석권과 연약권의 경계로 정의됩니다.
모호면은 1909년 크로아티아의 지질학자 안테 모호로비치치가 지진파의 속도를 측정하여 발견했습니다. 모호면은 지각과 맨틀의 밀도와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진파의 속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합니다. 지각은 맨틀보다 밀도가 낮고, 맨틀은 지각보다 밀도가 높습니다. 지각은 주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맨틀은 주로 암석과 녹은 암석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모호면은 지구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모호면은 지각과 맨틀의 경계이므로, 지각과 맨틀의 물리적 특성을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모호면은 지구의 내부 구조를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호면의 위치와 모양을 통해 지구의 내부 구조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