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보람찬상사조75
보람찬상사조7521.03.19

수도권 집 값이 언제까지 오를까요??

서울 살고있습니다

신혼 1년차이구요 청약을 넣고있긴한데

조건적으로 어려울것같습니다 집을 살 생각도 있는데

실거주 집이라면 언제든 사도 된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지방에 내려갈계획이라서 수도권에 집을 사두고

내려가고싶은데 적절한 시기를 모르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필요하다면 최대한 빨리 구매하시는게 좋습니다.

    오르는 폭의 차이나 집값을 누른다고 하더라도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어보이네요

    하지만 6~8월정도에 종부세를 내기 때문에 그 이전에 집 매물이 조금씩 나와서

    그이전까지 판매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을거같네요.

    하지만 그 이전에 산 사람들은 1~2개월뒤에 바로 종부세를 내야한다고 알고있거든요..

    그런 단점이 있긴하죠


  • 저는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고 있고 신혼부부5 년차입니다.올해 하반기 창릉신도시 분양에 도전하려해서 관심이 많습니다.

    최근 수도권 내에 일산 김포가 최근 많이 올랐습니다.

    아무래도 창릉신도시의 영향이라고생각합니다. (타지역의 신도시개발과 재개발의 영향도 있겠죠)

    분양전 해당지역에서 2년이상 거주를해야 1순위에 들어갈수있기 때문에 많이 몰리는것으로 예상하고있습니다.

    그래서 전세든 매매든 원하는 집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매물이 없다고합니다.

    찾는사람들이 많으니 오르겠죠..언제까지 올라갈지에 대한질문에 답은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창릉신도시기준 올해는 사전청약이고 본격적인 시작은 약2년 안으로 하기때문에 정식분양 예정일로부터 2년전의 시점까지는 기하급수적으로 오를거라 예상됩니다.

    분양을하실 생각이시면 분양공고가 나오기 전 아이를 가지시는게 유리하고 해당 지역에서 2년이상 거주와 청약통장을 가지고 계셔야할겁니다.

    정신없이 적느라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 코로나가 지속되며 정부에서 돈을 풀고있는 만큼 현재로서는 상승할 수 밖에 없고 지금사는게 미래에 저점이라 생각됩니다. 금리가 정상화되거나 주식 및 금 코인이 하락장을 맞이할때 부동산도 버블이 터질 수있는데 그 때가 진입시기로 보여집니다. 저 또한 작년 초에 고민 끝에 실거주용 아파트를 구매했을 당시 일명 불타기했지만 지금 그가격으로 돌아갈 수 없을 만큼 많은 상승하여 지금 생각하신만큼 진입하면 미래에 웃을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3.21

    올해 말부터 금리인상 할것으로 예상되며

    집값은 22년에 정점을 찍고 보합or하락을 유지하며 거래량이 감소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거래량 감소는 시작 되었고 금리가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3기신도시 청약이 시작되면 집값은 안정화될것으로 생각됩니다.

    매매보다는 청약으로 주택매수를 추천드리며

    어디까지나 예측인 만큼 그때그때 상황을 보시며 판단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