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6.19

정수기 물을 이용해서 가습기를 틀고 나면, 물보관통에 하얀 석회가루가 생기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가습기 틀 때 수돗물이 아닌, 정수기 물을 이용하여 가습기를 틀고 있습니다.

근데 다 틀고 난 후에 물이 들어 있는 통을 보면, 하얀 가루가 생성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정수기에서 필터를 거쳐 나온 물인데... 이런 하얀 가루가 생길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정수물은 석회질과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수돗물은 다행히도 석회질은 많이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 물 속에 미네랄이 있는데 가습기를 사용할 경우 물은 공기중으로 내보내지고 물 속에 있던 미네랄이 남아 하얀가루가 남는 백분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반대일 경우 발견되는 현상인데 조금 의외입니다.

    그래서 저도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수기 물을 사용합니다.

    아마 정수기 중에서도 미네랄등을 거의 거르지 않고 전달해주는 좋은 정수기여서 그렇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제되지않은 수돗물로 가습을하는 경우 잘 발생하는 백분현상으로 보이는데, 물안의 미네랄이 남으면서 만들어지는것입니다.

    또한 정수기 물에 미네랄성분이 남아있게 하는 제품의 경우에도 그럴 수 있고, 가습기에는 정수기물보다는 수돗물을 사용하는것이 세균번식에 있어서 더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정수기로 걸러낸 물도 미네랄과 같은 무기질을 일부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가습기는 물을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미네랄이 농축되어 침전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흰색 가루 또는 침전물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습기에 꼭 필요한것이 물입니다. 물을 넣으면 가습기마다 물을 수분으로 증발시키는데요. 증발 시키면서 같이 퍼지는 미네랄이 하얀가루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가습기 백분현상이라고 합니다. 일반 수돗물에도 미네랄이 많지만 정수된 물에도 미네랄이 있어서 적은 양이지만 하얀가루가 생기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