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건장한상사조208
건장한상사조20821.02.24

앞으로 부동산 전망 궁금합니다.

아직 집이 없는 무주택자입니다.!

집값은 계속 올라가고 있고 제가 생각하기에는 지금이 고점같아 보입니다.

청약으로 당첨이 되어도 괜찮을지. 집을 사기에는 돈도 부족하고 코로나가끝나면 대출금리도 올라갈것 같아 청약만이 내집마련의 길인가 고민이 됩니다. 조언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서울에 빌라에 거주중입니다 아파트 가격이 올라가면 빌라가격도 덩달아 올라간다고 하죠

    그래도 빌라는 1,2억대면 12-15평 정도삽니다

    거기서 역에 가깝고 평지고 그렇다하면 가격은 좀 더 올라가지요

    삼시세끼라는 예능을 보면 정선편 만재도편이 방영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그곳의 땅시세 집시세를 알아보고 귀농 귀어를 한다고 하죠

    이렇게 몰리면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당연하죠

    코로나가 오기 전 전국에 아파트 미분양이 수십만가구였습니다

    2009 후반이 20만호인가 미분양이었는데 현재는 미분양이 전국적으로

    절반도 안된다고 합니다 왜그럴까요?

    왜 코로나가 터지고 직장을 잃고 가게들이 문을 닫고 모든 경제가 침체되어 있을때

    집값이 올라가는 걸까요?

    저도 부업으로 장사하는데 매출이 반에 반도안됩니다. 돈이 없는데 무슨 이사를 가는지 참 이해가 안되네요

    우선 지금 밝혀진거만 2,3만건 허위 실거래가 인데요 이걸 최고가로 신고한겁니다

    최초 기사가 뜬 건 집값이 오른다가 아니고요 모 아파트가 십몇억에 거래 최고가 경신이런겁니다

    그리고는 의정부에서 10억넘었다고 뜨고 그 다음은 청주인가 원주인가

    저는 그랬죠 용산도 10억인데 무슨 의정부가 10억이냐고

    같은 10억이면 용산이나 강남이 더 비싼건 불변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용산구 강변에 모 아파트가 15억인데요 한가지 평수입니다 그리고 팬트하우스는 30억정도 호가한답니다

    그러면 의정부나 원주에서 10억이상에 거래되었다는 건 몇 평에 몇층인지 나왔나요?

    그리고 집이라는 게 호가입니다 부르는 가격.

    내가 작년에 1억에 산 집을 올해 2억에 내놨는데 중개인이 싸바싸바하고 집사러 온사람이 어리버리하면 2억에 삽니다

    그러면 2억에 실거래가 신고를 하고 그 집은 2억이 된거입니다

    이게 부동산가격이 들썩이는 거고 대통령이나라를 망치는 거고 이래서 결혼못하겠다 애를 못낳겠다가 된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누가 좋을까요?

    집값이 이렇게 오르면 대통령 반대 정치세력, 집주인,부자들,공인중개사가 좋겠죠

    그러면 반대로 서민들은 영끌해서 집을 사죠 2억짜리를 3억에 사고 돈이없으니 부모돈에 은행 대출받아서

    삽니다 그리고 10년 뒤 그집은 2억에도 안팔립거라봅니다

    그러면 결과는 뭔가요

    집값이 오른다고 옛날에 북풍공작처럼(이회장후보가 북한에 돈주고 총쏘게한거) 국민들을 교란시켰으면,

    현재 결과 대통령 지지율 떨어지고,여당 지지율 떨어짐

    전 정권때 미분양되었던 (가격내려도 아무도 안샀던 골치덩어리)아파트들 대부분 팔음

    2030 돈없는 청년들 빚내서 은행들 은행원들 (은행은 특히 우리은행처럼 국가지분이 많죠) 월급주죠

    대출 캐피탈들 카드사들 돈벌죠

    부자들은 더욱더 부자되죠, 안팔고 가만히 있어도 다주택자들의 자산이 올라가죠

    서민들 등꼴 빠지죠 이거 누가 이렇게 만들었을까요?

    수도권 외곽은 청약이라고 해도 그 가치가 얼마나존속할지 기타자료들을 많이 보시기 바랍니다

    공인중개사 말 친구말 듣지말고 전문가들 말을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ajejfj5/222234473576

    https://blog.naver.com/ajejfj5/222231483960

    지금 출산율이 0.87인가 그러죠?

    청약받은 집 나중에 아파트가격 최고치되는 10년차~15년차에 어떻게 될까요?

    20년 후엔 경제활동하는 인구가 지금의 반수준이 된다고 합니다 돈버는 사람보다

    노는 노인들이 많다고들 하죠, 20년 후에 저도 은퇴한 나이입니다 그 나이에 집을 살 수 있을까요?

    이런 사람들이 넘쳐나는데 집값이 올라갈까요?

    그냥 청약이 되면 그대로 사시기 바랍니다. 미래가 불안하면 월세나 전세로 사는게 낫습니다

    현재 은행에 3프로 주택담보대출받으면 30년 상환인데 1억빌려서 원금+이자 1억 총 2억 내야합니다

    30년간 ㅋㅋㅋ


  • 전문가가 아닌 그냥 일반인 입장에서 이야기 드릴려 합니다. 안떨어지고 계속 오름니다.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나오던간에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그건 이미20번 이나 부동산 정책이 실패했다는거죠. 한가지 물어보겠습니다. 20번이난 실패한 사람이 이번엔 성공할수있어하고 나만 믿어봐 하는데 님은 믿을실까요??? 어떠한 정책이 나오던간에 20번을 실패했다는 충격을 벗어나지는 못할거 같네요. 모든 사람들이 말이죠


  • 지역 마다 틀립니다만은

    서울의 경우 폭등 할때에 비해 상승률이 작아진건

    맞습니다만, 지금의 경우 경기도 시흥 쪽만 봐도

    상승률 퍼센트가 서울보다 훨씬 큽니다.

    시흥의 경우 작년에 청약분양이 많이 체결 되었구요

    질문자님이 어느지역 , 어느 위치 , 미래가치 를

    잘보고 내집마련 하신다면 좋은 수익 내실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집 가격을 조심스럽게 예측한다면 23년 정도 부터는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집값 조정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그것 보다 더 중요한 건 수요와 주택 건설 실적입니다 2015년(76만5천호)을 기점으로 계속 줄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45만 7천호 수준입니다 금리가 오르고 건설실적이 늘어나는 다음해나 그다음에는 조정 될거 같습니다 그래도 청약 계속 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