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하얀후루티55
하얀후루티55

병자호란때 주화론도 결국엔 청과 군신계약을 일단 맺자는뜻 아닌가요?

주화론이 싸우지않고 나중을 생각해서 지금은 군신관계 받아들이고 지금은 좀 물러나자는뜻이고 척화론은 애초에 군신관계 싫다고해서 싸우다가 결국엔 싸움도지고 군신관계도 강제로 맺게된건가요?결국 둘다 어쨌든 군신관계가 맺어지게되는건 같고 싸우고하느냐 안싸우고 일단 넘어가느냐가 다른거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화론과 척화론은 군신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와 접근 방식의 차이로, 주화론은 군신과의 관계를 일단 맺으며 나중에 조금씩 물러나자는 의미, 군신에게 어떤 조건을 충족시켜 협력하고 후에 조건이 만족된다면 관계를 이탈시킬 의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척화론은 군신과의 관계 자체를 원하지 않으며 싸움을 통해 물리치고자 했으며, 군신과의 관계를 거부, 전투를 통해 독립을 지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