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DTF !!
DTF !!

주식 반대매매에서의 신용 및 차등 유무

제가 얼마 전에 뉴스를 통해서 접했는데 삼성전자가 반대 매매 의한 마진콜 위험이 있어서 자사주 매입을 했다는 소문이 있더라고요. 일반적으로 개인의 경우 반대 매매의 기준 가격이 되면 바로 실행하는데,,,이와 같이 개인의 신용이나 지분에 따라서 반대 매매의 기준이 다른 게 정설인가요? 역사적인 사례를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개인의 경우도 칼같이 비율이 깨지자마자 반대매매를 하기 보다 기회를 주는 편입니다

    • 다만 심한 변동성장세라면 물론 증권사도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에 반대매매를 바로 진행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돈을 더 넣어서 보증율을 맞추라고 연락을 하는 편입니다

    • 과거 코로나 시기에 하락에 하락을 이끌었던 주요 원인도 이 반대매매 영향이 컸습니다

    • 반대매매는 다른 반대매매를 부르는 연속 작용이 커지면서 문제가 되었습니다

    • 이번 삼성전자의 케이스는 반대매매가 되는 수준이 되기 전에 발빠르게 대응하여

      마진콜 위기를 넘긴 케이스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대매매의 기준 가격이 되면 곧바로 실행되는 것이 맞고, 개인의 신용 또는 보유 지분에 따라서 기준이 다르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