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전염병과 국제 대응에 관하여 질문
신종 전염병과 국제 대응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현재 상황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이에 관한 어떤 정책같은 것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현재는 빠른 대응과 원인 추적을 위한 매뉴얼들이 각 나라마다 어느정도 가지고있고, WHO나 FDA와 같은 국제기구나 각 나라 식약처들도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보통 단계적 봉쇄와 검역, 방역, 격리 등이 효과적이기에 필수적으로 조치하고, 이후 백신과 치료제, 진단장비, 키트 등을 보급하게 됩니다.
신종 전염병 대응을 위해 세계보건기구(WHO)를 중심으로 국가 간 공조체계가 가동되고 있습니다. WHO는 긴급대책본부를 운영하며 역학조사,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지원, 의료진 파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출입국 통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물자 비축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국가 간에는 전문가 파견, 정보공유, 인도적 지원 등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신종 전염병에 대한 국제 대응은 세계 각국과 국제기구가 협력하여 진행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중 보건과 위기에 대한 대응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상호 협력하여 이런 전염병 발생부터 예방까지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신종 전염병이 큰 위협이 되는 경우 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할 수 있고, 글로벌 협력과 자원 동원을 총동원하게 됩니다.
WHO는 세계적인 전염병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국가들에 대한 지원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국제적인 대응을 조정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백신 개발과 보급을 촉진하고 있으며, COVAX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백신 보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들 간의 정보 공유와 협력을 통해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고 대응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종 전염병에 대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이전과는 다르게 매우 체계화되어 있습니다 코로나를 거쳐서 전 세계적인 전염병이 돌게 되었을 때 각 국가에 대해서는 코로나ㅜ애전보다 비상사태에 돌입하는 절차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했으면 큰 사회경제적 피해가 있었는데요, 이렇나 감염병을 예방하고 확산을 막기 위해서 국제 협력의 필요성이 커진 상황입니다. 감염병 분야에 대해서 글로벌 협력을 통해 대응하고 있으며, 국제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보건 거버넌스가 존재하는데, UN의 산하기관인 WHO을 비롯한 다양한 국제기구 등이 속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제가 알기로 WHO를 중심으로 각 나라의 의료 및 보건 통계들이 수집 되고 있습니다. 신종 전염병 같은 경우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국제적 합동 사업으로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