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밤하늘 푸른물결의 오로라
밤하늘 푸른물결의 오로라

우리나라에 빨리빨리 문화가 생겨난 이유가 있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른나라 사라들보다 무엇을 하든지

빨리빨리하는 습관이나 생활패턴을 가지고 있는데,

빨리빨리 음식을 먹고, 빨리빨리 일을 처리하는데

왜 우리나라는 빨리빨리 문화가 생겨났는지 알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국의 빨리빨리는 문화는 1960년대 이후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국민의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산업화 진행 과정에서 빠른 성과를 내야 했기 때문에 무엇이든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하려는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런 문화는 특히 교통, 업무, 인터넷 등 일상생활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빨리빨리 문화는 부작용도 존재합니다. 개인의 성향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빠르게 일을 처리하려고 하다 보니 실수나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고, 타인에게 불편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적절한 속도와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우리나라는 아주 오랜옛날부터 외세의 침략을 거의 1.000번을받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쟁이 터지면바로 짐싸서 피난가고 이러한것들이 몸에베어서 빨리빨리 서두르는 습성이 즉 민족성이 생겼다고 합니다.

  • 한국전쟁과 경제개발 정책, 문화적 특성, 사회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빨리빨리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사회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느릿한 양반의 나라였으나 일제강점 수탈기에 쌀이고 재물들을 모조리 수탈해갔으니 먹고살기위하여 바삐 움직이지 않으면 안되는 문화가 생긴것으로 사료됩니다.

  • 계층간 위계 질서가 강했던 전통 사회에서 신분 상승을 위해 빨리빨리 행동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빨리빨리 문화로 이어진 것 같습니다

  • 나라를 살리자고

    부모님들도 아이들도

    모두 빨리빨리 노력한

    역사때문이죠

    나라를 빨리 살리기위해

    모든 일을 빠르게 처리하고

    이게 몸에 녹아들고

    부모님 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이렇게 자라와서

    대대손손 빨리 빨리가

    습관화 된겁니다.

  • 6.25 전쟁이후 경제 성장 때문에 그런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그 여파로 인해 빨리 일을 처리 하고 휴식을 하고자 하는 인식이 깔려 있기도 하고요.

    빨리빨리 문화가 마냥 나쁜것은 아닙니다만 빨리빨리 보다는 미리미리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합니다.

  • 급격한 산업현장에서 일을 능숙하고 많이 하려면 빨리빨리가 필요한 게 배경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 기질상 빨리빨리하려고 하는 거 같아요

  • 한국전쟁과 박정희 군사 정권의 중앙집권식 경제개발 정책이 빨리빨리 문화의 시작점으로 여겨집니다 전쟁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해 정부가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효율성과 속도가 강조되었습니다

  • 한국에서 외국인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말은 빨리 빨리 입니다.

    그계기는 현대화에 들어서면서 기계화가 시작 되다보니 기계에 속도를 맞춰야 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빨리빨리 문화 탄생 배경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아무래도 빠른 성장을 위해서 사람들이 일찍 일어나서 오랜 기간 일을 하고 빨리 집에 가서 휴식을 하다 보니 정착이 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이러니 밥도 빠르게 나오고 빠르게 먹고 이런 과정이 반복되니 생산자도 빠르게 생산을 하게 되었습니다.

  • 아무래도 한국사람들은 성격이 급해서 빨리빨리 문화가 있는거같아용 컵라면도 끓기전에 확인 여러번하자나용 ㅋㅋ 외국린들은 느긋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