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친절한코뿔소268
친절한코뿔소26821.12.22

지인이 트라우마로 힘들어합니다 조언구합니다

안녕하세요 친절한 코뿔소 입니다

지인이 예전에 사고가 크게 났었어서 사고를 생각나게하는 일이 있으면 굉장히 힘들어합니다ㅏ

뭐 따로 상담이나 이런건 안받는다고 하시는데 어떤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원석 심리상담사입니다.

    지인이 누구인지에 따라서 접근해야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가족일수도 있고 연인, 친구 등 관계는 여러가지라서 얼만큼의 친밀도가 있는지에 따라서 다가가는 정도를 달리햐애합니다.

    같이 집에만 있는 것이 아닌 같이 야외활동을 하면서 빛을 보고 산책도 한다면

    나가기 전까지의 어려움과 귀찮음이 있을 수 있지만

    야외활동을 하다보면 더 활기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점숙 심리상담사입니다.

    트라우마 치료를 위해서는 주로 '노출치료'가 이뤄집니다. 노출치료는 트라우마 원인에 직접 맞서면서 점진적으로 두려움과 공포를 줄여나가는 방법을 말합니다.

    '안구운동 민감 소실 재처리 요법'이라는 치료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트라우마를 떠올리고, 안심·안정을 느끼면서 안구를 왼쪽, 오른쪽으로 굴리고, 눈을 굴리면 좌반구, 우반구가 자극돼서, 편도에서 불러일으킨 기억이 재처리돼 트라우마에 안심·안정을 덧입혀 해마 등에 재저장됩니다. 단, 혼자는 할 수 없고, 의사나 임상심리상담전문가 등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트라우마는 해당 상황을 연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다만, 환경을 피할 수 없다면 전문가의 조력을 받은 상태에서 지속적인 노출을 하여 트라우마의 정도를 낮추는 치료를 받아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가능하면 트라우마는 상담을 병행하는것이 좋습니다

    다만 스스로 그것이 힘들다고 한다면

    옆에서 힘들었던 트라우마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것에 대해 인지적으로 옳바른 방향으로 수정해주는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지지와 공감을 해주면서 함께 이루어지는것이 좋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입니다.

    트라우마로 남아서 그 기억이 자주는 아니지만 고통스럽다면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맞습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증상은 지속적으로 고통스러울 수 있기에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