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대범한애벌래285
대범한애벌래285

원화도 엔화사태와같은 일이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원화도 엔화와 같은 일이 생길지가

걱정됩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위험수준은 아닌지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일본과는 달리 어느정도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높은 금리를 유지하기에 일본 엔화처럼

    엄청난 저평가를 받을 확률은 상대적으로 적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본보다 높은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과 같은 위험수준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뿐만 아니라, 과거와 달리 외환보유액도 많기 때문에, 외환 위기 등이 도래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 우리나라 원화도 일본 엔화와 비슷한 상황이긴 합니다. 다만 일본보다는 덜 한 편이죠. 왜냐하면 제가 알기로는 환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가 간의 금리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이 5.5%로 기준금리가 매우 높은 상황인데 우리나라는 3.5% 일본은 0.1% 였던가 할 정도로 거의 제로 금리 수준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금리 차이가 워낙 심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자본 유출이 많이 발생하고 환율이 올라가는 것이고 우리나라는 일본보다는 훨씬 덜한 상황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 일본 엔화와 같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낮습니다. 한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외환보유고도 충분히 확보되어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경제 상황과 국내 경제 정책의 변화에 따라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비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안정적인 경제 성장률, 적절한 통화 정책, 높은 외환보유고, 관리 가능한 정부 부채 수준 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환율을 유지하고 있고요 어자피 대기업들이 이끌어가는 나라이기 때문에 저소득층만 죽어나가는거 외엔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는 미국대비 200bp 낮지만 일본과 같이 아주 저금리 상황은 아닙니다. 단, 미국과의 금리차이 수준이 게속되면서 환율은 지속적으로 조금씩 오르는 모습을 보이고 잇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엔화 약세로 인해 많은 분들이 한국 원화도 같은 상황에 직면할지 걱정하는 것 같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는 일본 엔화 약세의 원인과 한국 원화의 상황을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엔화 약세의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일본의 경우, 장기간의 저금리 정책과 느린 경제 성장률이 주요 원인입니다. 일본 중앙은행은 경제를 자극하기 위해 금리를 매우 낮게 유지하고, 심지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 자산의 수익률이 낮아져 외국인 투자자들이 일본 자산을 기피하게 되었고, 이는 엔화의 수요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일본의 인구 고령화와 노동 인구 감소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이제 한국 원화의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은 일본과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기술과 제조업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 경쟁력은 한국 경제의 기초를 탄탄하게 합니다.

    둘째,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금리 정책을 보다 신중하게 운용하고 있습니다. 일본과 달리 한국은 금리를 매우 낮게 유지하지 않으며, 물가 안정과 경제 성장을 균형 있게 고려합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더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제공하고, 원화의 수요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셋째, 한국의 인구 구조도 일본과 다릅니다. 한국 역시 인구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지만, 일본만큼 심각하지 않습니다. 또한, 한국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물론, 원화가 엔화와 같은 상황에 처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이나 글로벌 경제 둔화 등 외부 요인들이 원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경제 정책의 실수나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도 원화의 가치를 급격히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한국 원화가 일본 엔화와 같은 급격한 약세를 보일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고 판단됩니다. 한국은 경제 성장의 기반이 튼튼하며, 중앙은행의 정책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당장 원화의 급격한 약세를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경제는 항상 변화하고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경제 상황 모니터링과 현명한 재무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잠재적인 위험을 미리 대비하고 적절한 대응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원화되 엔화와 같은 사태가 생길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원화도 1,400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엔화처럼 되지 말란 법도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엔화가 지금같은 상황이 벌어지게 된 이유는 거의 제로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우리나라는 제로금리까지도 아니고 3.5%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처럼 화폐가치가

      급락하진 않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저현상은 일본 정부가 계획적으로 엔화의 가치를 낮게 가져가고 있어 발생한 것입니다. 내수의 활성화와 수출의 다각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