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빼어난듀공281
빼어난듀공281

아이가 잠잘때 소리를지르는데 원인이궁금합니다?

9세아이가 잠을잘때 비명을지르거나 혼잣말을 종종합니다 그때그때마다 다른데 혹시 건강상문제가있는건 아닌지 걱정되네요 괜찮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다양한 원인들로 꿈에 나타납니다.

    끙끙 앓거나, 발열 등 증세가 없다면 단순히 꿈을 꾸면서 잠꼬대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낮에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불안한 일을 겪었을 경우

    수면 중 잠꼬대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중 공포스러운 꿈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잠꼬대를 하는 경우도 있고요.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잠꼬대시 꼭 안아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를 안아줌으로써 안정감을 느끼게 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낮에 활동량이 많았거나, 또는 정서적인 불안감, 스트레스 등등의 원인으로 야경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아이들이 크면서 좋아지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자다가 깨서 야경증 증상이 나타난다면 부모는 당황해하지 마시고 아이를 편안하게 해주고 안아주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악몽을 꾸엇을가능성이 있거나

    낮에 활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아서 위처럼 나타날수있을것이니

    스트레스를 체크해보고 풀어주시는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불안감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 그런 행동을 합니다.

    아이의 스트레스 요인을 찾아 해결해 주시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또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몸은 자고 있지만 뇌는 깨어있는 '렘수면'의 상태에서 보통 뇌간에 위치한 운동 조절 부위가 작동해 움직이지 않고 잠을 자게 됩니다. 하지만 뇌간에 문제가 생기면 이 운동 조절 부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잠을 자면서 소리를 지르거나, 심하게 움직이는 등 이상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야경증의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많은 아이들이 야경증의 증세를 보이며 이것이

    신체에 문제가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며

    추후 성장하면서 없어질 확률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잠을 자면서 비명을 지르는 해당 증상은 야경증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이것은 뚜렷한 치료법은 없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좋아지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은 야경증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이가 수면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