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는 비행이 언제 탈수 있나요?
영유아는 차만 타도 뇌가 흔들린다며 조심해서 이동하는데,
코로나도 때 여행을 못가서 이제서야 가족 여행을 떠나고 싶은데 비행이는 언제 타도 상관이 없을가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국내선 탑승 시기는 생후 7일, 국제선 탑승 시기는 생 후 13일 이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10시간 이상의 장기간 이용은 생후 3새월 이후 정도가 좋겠습니다. (기압차이에 아이가 민감하게 반응 할 수 있어요).
24개월의 아기는 국내선은 무료이며 국제선은 성인의 10%정도 요금부담이 발생합니다.
여분의 기저귀, 옷, 물티슈, 지퍼팩, 비상약, 빨대컵을 준비해 주시구요, 개인적으로 중요한게 준비할 것으로는 아이가 비행시간 동안 즐길만한 영상 등을 준비해 주시는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비행기에거 아이가 울면서 주변인들에게 소음 피해를 많이 줬던 개인 경함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1달 이후로 상관은 없으나
대략적으로 아이가 어느정도 더 큰
3개월정도가 지난뒤에 가는것이 좋습니다.
장기간의 비행은 신체적 무리가 올수있기에
긴거리는 피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항공사에서는 국내선은 일주일, 국제선은 이주일이 지나면 탑승이 가능합니다.
다만 아이가 장기간 비행에 지칠 수 있으니 장거리 이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국제선은 생후 14일, 국내선은 생후 7일부터
탑승이 가능하나 아이를 비행기에 태우기 전에는
의사선생님과 충분한 상담 후에 태우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태어난 지 생후 2주 이후부터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2, 3개월 이후에 탈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7, 8개월 정도는 되어야 보다 안전하다고 합니다.
생후 7일 미만의 신생아는 비행기 탑승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아기가 비행기를 탈 경우엔, 아기의 안정을 위해 이.착륙시엔 아기의 귀를 감싸는 주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규정상은 생후 7일 부터는 성인 보호자 동반하에 가능은 합니다만
아이가 기압을 잘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잘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규정상으로는 생후 7일이 지나면 탑승이 가능합니다만
기압에 변화에 약하기 때문에 최소 100일이 지나면 가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