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를 계속맡다보면 익숙해지는 이유?
요리를하다보면 냄새가 나더라도 익숙해지면 못느끼다가 밖에 나갔다 들어오면 집안에 그 냄새가 번져있는걸 느끼는데요 왜 인체는 냄새를 계속 맡다보면 익숙해지고 모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속적인 자극을 받게되면 후각이 금방 피로해지면서 무덤해지게 됩니다. 이로인해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대적으로 냄새가 덜 느끼게 되거나 익숙해지게 되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냄새를 인식하는것은 뇌의 기능과 관련있습니다. 최초에는 신호를 많이 보내다가 차차 줄어든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에 대한 인식은 우리 뇌의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새로운 냄새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계속해서 노출되면 뇌가 해당 냄새에 대한 신경 전달을 줄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코에 있는 후각 신경세포는 몹시 예민하여 후각을 자극하는 적은 양의 물질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반대로 진한 자극을 가진 냄새가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후각 피로현상으로 인해 금방 환경에 순응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냄새를 계속 맡다보면 금방 익숙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후각은 후각령이 거의 퇴화돼서 인지 다른 감각에 비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같은 냄새를 오래 맡을 경우 냄새를 구별할 수 없다. 이를 후각 피로(olfactory fatigue)라고 부른다.
출처 : 나무위키 - 후각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감각이 수용하는 냄새분자에 자극을받아 전기신호를 만들어내는 역치값이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즉, 더 많은 냄새분자나 자극적인 분자가 들어와야 전기신호를 인지할만큼 전달하게되고,
동일한 자극이 지속되면 역치값을 넘지못해 우리는 인지하지 못하고 익숙해져버리게 됩니다.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냄새를 계속 맡다보면 익숙해지는 이유는 적응 때문입니다. 코 안의 후각 수용체가 지속적으로 냄새 분자와 결합하여 뇌로 전달되는 신호가 약해지면서, 뇌는 이를 '익숙한 냄새'로 처리합니다. 또한, 처음 맡는 냄새를 기억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뇌의 처리 과정이 반복되면서 해당 냄새에 대한 주의가 감소하고 익숙해지게 됩니다. 냄새와 감정 간의 연관도 냄새에 익숙해지는 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냄새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이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