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강 알루미늄 파생상품에 50% 관세라는데 무역 물가 다 오르나요
제조업 전반에 원가 부담이 커진다고 하던데요. 결국 무역 제품 가격까지 전부 오르는 거 아닌가요. 이게 단기 문제인지 장기적으로 갈 건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민호 관세사입니다.
원재료의 비용이 오르는 경우 물가상승은 따라올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해당 관세부과가 일시적인 조치의 성격일 수 있으므로 미국 법원이나 그 밖의 상황을 조금 두고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철강 알루미늄 파생상품에 50%라는 높은 관세를 매기면 바로 영향을 받는 건 자동차 부품이나 건설 자재 같은 제조업 쪽입니다. 원재료 단가가 뛰면 수출입 제품 가격도 자연스럽게 오르게 됩니다. 다만 모든 품목이 일괄적으로 오르는 건 아니고 국내 생산 대체가 가능한 품목은 충격이 줄어듭니다. 문제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미국 수요 비중이 큰 품목인데 이런 경우에는 무역가격이 꽤 빠르게 반영될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환율이나 재고 물량 덕분에 완화될 수 있지만 관세가 장기화되면 기업들이 생산지를 바꾸거나 공급선을 재편해야 하는 상황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미국의 물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한국과는 무관하지만 미국에 수출하던 철강 및 알루미늄 업체들은 미국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기에 매출감소를 피할 수 없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품목도 점점 더 추가되는 모양새입니다.
이에 따라 무역제품, 소비재 가격 상승 압력이 있을 것입니다. 중장기적으로도 생산지 이전, 공급망 변화, 가격 경쟁력 약화 등 여파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물가에 대한 추이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