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삼국시대에도 달력이라는 것이 존재했나요?

삼국시대에도 왕 재임기간을 1년 2년 이런식으로

계산되어 있던데 삼국시대에도 현재와 유사한 달력이라는 것이 존재했나요?

아니면 사료의 기록상 내용을 보고

현재의 일수와 맞게 따로 계산해서

나타낸 것인가요?

삼국시대에도 현재처럼 12개월로 1년을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행복한북극곰
    행복한북극곰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삼국시대에도 음력 달력이 존재하였답니다!

    중국의 절기를 기반으로 독자적으로 만들어 날짜를 확인했어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는 중국의 남조인 송(宋)나라에서 역법을 받아들여 사용했습니다. 중국의 후주서 열전 이역조와 수서 열전 동이조에는 ‘백제 해음양오행 용송원가력 이건인월위세수(百濟 解陰陽五行 用宋元嘉曆 以建寅月爲歲首)’라고 기록돼 있습니다. 또한 일본서기(日本書紀)에도 남아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554년 2월 역박사 고덕 왕보손이 일본으로 건너와 역법을 가르쳤고, 602년 10월 백제의 중 관륵이 역서(曆書), 천문, 지리, 둔갑방술(遁甲方術) 등에 관한 책을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와 가르쳤으며, 일본은 이것을 배워 604년부터 역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고구려와 신라는 당(唐)나라에서 만들어진 역법을 사용했습니다. 고구려가 역법을 사용한 기록은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자치통감(資治通鑑)에 있습니다. 624년 2월에 고구려왕이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역서를 얻어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