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언젠가는 정상에
언젠가는 정상에

파키스탄에서 핑크솔트램프(무드등)을 수입할때 통관시 필요한 서류는 뭐가 있나요?

핑크솔트램프라고 하는 USB로 꽂아서 쓰는 무드등인데요..파키스탄에서 수입하려고합니다.

온오프기능만 있구요..혹시 인증받아야하는게 있을까요 그리고 라벨에 필히 들어가야하는 내용이 뭐가 있을까요?

또 통관시 필요한 서류랑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수입에 대해서는 너무 몰라서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우선 물품 정보가 상세히 나와 있지는 않아 정확한 HS코드(품목번호)를 알 수 없지만, 일반적인 USB 형식의LED 무드등은 8539.52-0000호(LED램프)에 분류됩니다. (용도 / 기능 / 작동방식 등에 따라 조금 상이할 수 있음)

      1. 관세

      HS코드 8539.52-000호에 해당하는 무드등은 기본관세 8%가 부과됩니다. 우리나라와 파키스탄은 FTA 체결국이 아니기에 FTA 협정 관세는 적용 받으실 수 없으며 물품금액 및 운송/보험료 금액의 8%가 부과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가세 10%도 부과)

      2. 수입 요건

      교류 220V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USB로 온/오프하는 방식이기에 램프 자체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상의 전기인증 대상은 아닙니다.

      다만, 배터리를 사용하는 램프이기에 ①배터리에 대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상의 안전확인②램프 자체에 대한 전파법 적합성평가 인증을 거친 후 수입이 가능합니다.

      배터리 전기용품 인증 및 램프 전파법 인증은 개인이 취득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인증 대행 사설 기관에 의뢰하시는 것이 적합합니다. 아니면 수출자(제조자)에서 국내의 인증을 모두 취득했다면 해당 인증번호들을 사전에 공유 받아 통관 시 활용하셔도 됩니다.

      3. 인증 라벨

      KC인증라벨은 KC인증마크/인증번호/인증기관/제품명/제조시기/제조국 및 제조원/수입자 및 연락처/주의사항 등을 현품 및 포장에 부착해야 됩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해당물품은 HS code 9405.21-0000(LED 탁상용램프)로 분류될 듯 합니다.

      이러한 물품을 수입하기 위하여는 현재 8%의 관세율과 10%의 부가세를 납부하셔야 됩니다.

      (아래 개별소비세의 경우 해당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부분 중 수입요건을 갖추어야됩니다만, 아래의 법에 따른 수입인증을 득하셔야 됩니다.

      전기용품및생활용품안전관리법 · 정격전압이 30V초과 1000V이하의 교류전원 또는 42V초과, 1000V이하의 직류전원에 사용하는 다음의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을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전기용품을 수입하여야 하며, 당해 전기용품은 안전인증기관의 확인을 받아 수입할 수 있음.
      ● LED등기구

      전파법 · 다음의 것은 국립전파연구원장의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확인서 또는 사전통관확인서, 적합성평가면제확인서(단, 면제확인이 생략된 경우는 제외한다)를 받고 수입할 수 있음
      ● LED등기구

      해당 부분의 인증과 관련하여는 샘플 1개를 수입하시어서 각 기관에서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가능하면 수입관세사와 협의하시어 수입인증 및 수입절차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함께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