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들이 자라나는 것처럼 우리 신체에서 손톱과 발톱은 어떠한 생물학적 원리로 자라나는 것일까요?
식물들이 자라나는 것처럼 우리 신체에서 손톱과 발톱은 어떠한 생물학적 원리로 자라나는 것일까요? 자라나는 과정을 실제로 관찰할 수가 없기에 참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손톱과 발톱은 하얀색 반달쪽으로 부터 피부 표피의 안에서 만들어져서 밖으로 각질화 된 뒤 돌출된것입니다.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손톱 뿌리 부분에 있는 모체 세포가 죽어 각질이 된 후 밖으로 밀려 나가면서 손톱이 형성되는데, 모체세포는 큰 이상이 없으면 살아 있는 동안 계속 생성된다. 이 세포가 많이 만들어질수록 손톱이 빨리 긴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손톱과 발톱은 각각 손가락과 발가락 끝에 있는 각막세포에서 자라나는 부속물입니다. 각막세포는 신체에서 가장 빠르게 자라는 세포 중 하나이며, 손톱과 발톱은 이러한 각막세포가 빠르게 자라면서 형성됩니다. 각막세포는 각각의 손가락이나 발가락 끝에서 발생하는 말단의 피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새로운 각막세포가 생성되면서 손톱과 발톱이 자라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각막세포는 신체에서는 다른 세포들과는 달리 신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때문에, 손톱이나 발톱이 부러지거나 깨질 경우 각막세포가 자극을 받게 되면서 아픔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손톱이나 발톱은 일정한 속도로 자라기 때문에, 자르지 않으면 길어지면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손 ·발가락 등 쪽[背側]으로 약간 돌출한 판 모양이며, 손가락과 발가락의 선단을 보호합니다. 전체 모양은 대체로 사각형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조체(瓜體) 또는 조판(瓜板)이라 하고, 조체의 하층을 조상(瓜床)이라 한다. 손톱 ·발톱의 앞쪽 가장자리를 자유연(自由緣), 양쪽 가장자리를 외측연(外側緣), 피부에 묻혀 있는 뿌리 쪽의 가장자리를 잠입연(潛入緣)이라 한다. 표피 속에 묻혀 있는 조체의 뿌리 쪽을 조근(瓜根)이라 하고, 조근의 아래쪽 부분은 조모(瓜母)라 하는데, 조모는 손톱 ·발톱의 신생에 중요한 부분이다. 조체의 뿌리 근처에 반달 모양으로 희게 보이는 부분을 조반월(瓜半月)이라 한다. 조반월은 조모에서 만들어져 나온 조체가 아직 각질화되지 않은 부분으로, 이 곳이 희게 보이는 것은 투과광선의 반사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조체의 조직은 편평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각질세포를 품고 있는 조각화층(瓜角化層)이 변해서 된 것이다. 조상은 표피의 배아층(胚芽層)에 상당하는 조배아층과 진피층으로 되어 있다. 손톱 ·발톱의 발생은 대개 출생 3개월부터 시작하여 출생 6개월 정도면 대체로 그 형태가 잡히게 된다. 생후의 생장속도는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으나 대체로 하루에 0.15mm 정도 자란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에 가장 잘 자라고, 하루 중에서는 밤보다 낮에 잘 자란다. 또 연령면에서는 30세까지는 연령과 함께 생장속도가 증가하나 그 이후는 속도가 감소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손톱과 발톱은 표피층의 최외곽인 행모상피세포에서 형성됩니다. 이 세포들은 분열과 성장을 거치면서 표피층 하부에 위치한 기질인 표피모세포로 전환됩니다. 표피모세포는 특수한 각질 단백질인 케라틴을 합성하고 이를 행모상피세포에 전달하여 행모상피세포가 더 많은 케라틴을 합성하게 합니다. 이렇게 케라틴이 쌓이면서 손톱과 발톱의 형태가 형성되고 자라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전 질문과 거의 유사하긴 한데다른 관점에서 답변 드립니다.
손톱 행렬에서 세포 분열이 발생합니다. 이 분열은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고, 이들이 손톱의 성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손톱을 형성합니다. 세포 분열과 이동은 손톱의 기저 영역에서 발생하며, 이후 세포들이 고지질화하여 단단한 손톱 조직을 형성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손발톱은 케라틴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케라틴은 피부, 머리카락, 손발톱의 주성분입니다. 케라틴은 손발톱의 가장 안쪽에 있는 피부 아래에서 생성됩니다. 여기서 생성된 케라틴은 손발톱의 가장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쌓여가고, 케라틴이 쌓이면서 손발톱이 자랍니다. 손발톱은 손가락과 발가락의 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손발톱은 손가락과 발가락의 모양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손톱이 자라는 원리는 깊숙이 박혀 있는 손톱뿌리와 손톱바탕질 때문이며
손톱뿌리 밑에는 손톱바탕질이 박혀있는데 손톱바탕질 에서는 반복적으로 새로운 손톱의 세포를 생성하여
손톱뿌리로 전달하고 있으며 뿌리 에서는 죽은 손톱의 세포를 계속해서 밖으로 밀어내게 되면서
딱딱한 살색손톱이 되는 최종원리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