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수려한멧새232
수려한멧새232

블록체인은 중앙은행에서 간섭할수없나요?

블록체인은 여러명이 체인을 만들어서 단독으로 풀수없는거라고 알고있는데 그렇다면 가지고있는 사람들끼리만 공유를 할수있나요? 탈중앙화 블록체인이면 국가에서 아예 간섭을 할수없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말쑥한호랑나비4
      말쑥한호랑나비4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블록체인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블록체인은 나카모토 사토시가 비트코인을 개발하는데 처음 나온 기술로, 현재의 중앙집권적인 체제(국가나 기업)에서 벗어나 분산원장의 기술로 탈중앙화를 이루고, 중앙집권체제의 문제점인 투명성과 신뢰성을 회복하고, 빠른 처리속도와 저비용의 장점으로 4차산업 시대에 필요한 기술로써 주목받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중앙집권으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이 블록체인이기 때문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모든 데이터를 블록에 담아 저장하고, 그 블록은 노드들의 컴퓨터에 분산화되어 저장되며, 증명방식에 의해 노드들에게서 증명되어 계속해서 블록이 이어나갈 수 있도록 체인으로 연결되어진 모양을 보고 블록체인이라 일컫습니다. 모든 블록체인 선 상에서 일어나는 기록은 노드의 컴퓨터에 기록/저장되며,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이 노드들의 검증/컨펌 과정을 거친 후 진행이 됩니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언급했듯이, 비트코인을 발행하는데 최초로 나온 기술이며, 비트코인 외에 현재는 무수히 많은 암호화폐가 발행되었습니다. 암호화폐는 저마다 새로운 플랫폼과 생태계를 위해 발행되었으며,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 쓰일 수 있습니다.

      떄문에 이러한 암호화폐의 가치(기술력/사업성)와 희소성의 가치로 투자자들이 매매를 하며, 그 가치가 계속해서 커지며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블록 체인은 기존 금융권의 부조리에 맞서기 의해 탈중앙화를 표방하면서 나온 기술입니다. 말 그대로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여러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거래할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를 위변조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서 해킹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국가나 기관의 간섭으로 부터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탈중앙화가 그 기본으로 하고 있더라도 중앙화된 기관에서 컨트롤을 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완전한 통제는 특성상 불가능합니다.

      블록체인 기록에 관리 기록이 남아서 투명성이 유지되며 익명성이 제공되어 개개인의 추적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활용해야 가능해집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