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붉은메추리240
붉은메추리240

봄철에 꽃가루나 기온.환경때문에 알러지...

성별
남성
나이대
50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알러지가 많은분들이 있습니다ㅡ 재채기,꽃물,눈두덩이가 붓고... 여러 현상들이 나타나는데요... 그런사람들과ㅠ그렇지ㅜ않은 사람들의 대표적 차이는 무엇인가요? 무슨인자때문에 차이가 있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 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봄철이 되면 꽃가루나 변화하는 기온 등으로 인해 알레르기를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알레르기는 재채기, 콧물, 눈이 붓는 증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면역 시스템이 특정 물질에 과민하게 반응할 때 발생합니다.

    알레르기를 겪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의 차이는 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나타납니다. 유전적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쉬운 체질을 가진 경우에는 특정 알레르겐에 노출되었을 때 면역 시스템이 과도하게 반응합니다. 이는 부모 중 한 명 또는 양쪽 모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자녀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전적인 요인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어릴 때 어떤 환경에 노출되었는지도 중요한데요. 위생 상태가 깨끗한 현대 사회에서 살고 있는 경우, 다양하고 적절한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이 부족해지면서 면역 시스템의 학습 기회가 줄어들고, 이 때문에 면역 시스템이 알레르겐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할 위험도 커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흡연, 대기 오염, 식습관 등 다양한 환경 요인들이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정 식품이나 약물에 대한 민감성도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의 강도나 발생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알레르기 소인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과거에는 알레르기가 없었으나 반복적인 노출로 인해 감작되며 또는 기존에 있던 알레르기와 유사한 물질 노출로 인해 일레르기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유발 물질의 노출을 피하고 증상이 심할 때는 약물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1명 평가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알레르기 반응은 개인의 면역 체계가 특정 물질에 과민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들은 특정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면역 시스템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히스타민과 같은 화학 물질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재채기, 콧물, 눈의 가려움, 피부 발진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들은 동일한 항원에 노출되어도 면역 체계가 과민 반응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의 차이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 체계의 상태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결정됩니다. 유전적으로 알레르기 체질을 타고난 사람은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으며, 어릴 때부터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거나 특정 식품에 과도하게 노출된 경우에도 알레르기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 수면 부족, 불균형한 식습관 등으로 인해 면역 체계가 약화되면 알레르기 반응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봄철 알레르기 증상, 예를 들어 재채기, 꽃물(알레르기 비염), 눈두덩이 붓기 등은 주로 꽃가루나 기온 변화에 반응하는 면역 시스템의 과민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알레르겐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은 면역 시스템이 이를 외부 위협으로 잘못 인식하고 과잉 반응하게 되죠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재채기나 눈의 가려움증, 코막힘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면역 시스템의 민감도에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알레르기 질환을 앓는 부모나 가족이 있을 경우, 자녀도 알레르기에 민감할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면역학적 불균형이 있으면 특정 물질에 대해 과민 반응을 보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면역 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거나 면역 세포들이 정상적인 방식으로 알레르겐에 반응하지 못하면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적 요인도 알레르기의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염된 공기나 꽃가루 농도가 높은 지역, 온도와 습도의 급격한 변화 등은 면역 체계에 영향을 주어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알레르기성 사람들은 이러한 외부 자극에 대해 상대적으로 반응하지 않거나 약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요. 환경에 대한 면역 시스템의 적응 정도도 알레르기 발현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