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흥미로운사자35
흥미로운사자35

환자가 직접 손대서 만든 음식을 먹어도 전염될 수 있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4

1. 대상포진 의심 환자가 직접 손대서 만든 음식을 먹었는데요

피부과에서 대상포진은 아닌 거 같고 다른 질환 같다고 하셨다고 합니다

어떤 질환인지 모르는 상황인데

그분이 평소 기력이 안 좋으시고 나이가 좀 있으십니다 (50대)


그분이 직접 만든 음식을 용기에 담아서 주신 것을

며칠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꺼내 먹었는데요

어떤 병인지는 모르지만 전염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아픈 증상이 발생하신 뒤 5일쯤 지나고 음식을 주셨고, 음식 받은 후 며칠 뒤에 먹었습니다

(그러니까 증상 나타나시고 5일쯤 뒤에 직접 손으로 음식 만드셨고 저는 그걸 며칠 뒤에 꺼내 먹었습니다.

직접 손으로 조리하신 음식, 조리하지 않고 직접 손대신 생 식재료 둘 다 먹었습니다)





2. 같이 식사를 하거나, 식기를 공유하거나, 그분이 먹던 음식을 먹었어도 전염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의 경우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질환은 아닙니다. 음식을 조리해주셨다고 해서 전염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지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1.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직접 접촉이나 병변에서 나온 체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대상포진 의심 환자가 직접 만든 음식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다만, 병변 부위를 손으로 만진 후 손 씻기를 철저히 하지 않고 음식을 조리하였다면, 바이러스가 음식에 묻어 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대상포진이 아니라 다른 피부 질환이라면 음식을 통한 전염 가능성은 더욱 낮아집니다.

      증상 발생 후 5일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조리된 음식이고, 섭취 시점까지 며칠 더 경과하였다면 감염 위험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1. 대상포진 환자와 식사를 같이 하거나 식기를 공유하는 것으로 인한 전염 가능성 역시 매우 낮습니다. 대상포진은 공기 매개 감염이 아니라 직접 접촉에 의한 감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라면 감염의 위험성이 다소 높아질 수 있으므로, 환자와의 밀접 접촉은 피하고 식기 공유 시 깨끗이 세척하는 등의 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심 증상이 있다면 피부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50대 이상이라면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