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된 단일 천체 중에서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가장 큰 천체는 무엇인가요?
태양과 같은 항성이나, 지구와 같은 행성은 구형에 가까운 모양인데요, 현재까지 발견된 단일 천체 중에서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가장 큰 천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주흔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구형 모양을 유지하지 않습니다. 주흔성은 매우 빠른 자전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풍부한 대기로 인해 편평한 극지를 가진 둥근 모양이 아닌 타원 모양을 갖습니다. 또한, 주흔성의 높은 자기장과 강력한 중력으로 인해 대기 중의 물질이 압축되고 풍부한 가스와 액체로 형성된 대형 대기 대류 구름 대기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천체 중에서 구형이 아닌 천체로는 혜성이나 일부 위성, 불규칙한 모양을 가진 운석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전축이나 중력, 힘이 작용하여 형태가 구형이 아닌 비규칙한 모양을 갖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로 헤일리의 혜성입니다. 헤일리의 혜성은 타원형 궤도를 따라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질량체로, 지구에 근접할 때에는 밝게 빛나는 광학 현상을 보여줍니다. 이 혜성은 지구 궤도 주위를 공전하는 주기가 약 76년인 단기형 혜성으로, 가장 최근에 지구와 가까워진 때는 1986년이었습니다.
헤일리의 혜성은 타원형 궤도를 따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형태가 구형에 가까운 천체가 아니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헤일리의 혜성의 형태는 과거에 다양한 탐사와 관측을 통해 밝혀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행성처럼 동그란 구(球·sphere) 형태가 아닌 기형으로 변형된 행성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최근 프랑스 파리천문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우주망원경 ‘키옵스’(CHEOPS)를 통해 외계행성 'WASP-103b'를 분석한 결과 구체가 아닌 럭비공처럼 기형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는 행성이 모항성과 바짝 붙어있어 강한 조석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WASP-103b가 모항성을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22시간. 이렇게 가까운 거리 때문에 WASP-103b는 강한 조석력으로 당겨져 기이한 모양으로 변형된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