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영악한딩고41
영악한딩고4123.08.03

뜨거운 햇빛 아래서 길게 늘어진 길 먼 곳에 신기루가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요즘같이 이렇게 햇볓이 뜨거운날 길게 늘어진 아스팔트를 보면 바닥이 미끌미끌한 물같은 신기루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이 생겨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蜃氣樓)란 물체가 실제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불안정한 대기층에서 빛이 굴절하면서 생긴다. 사막의 오아시스 신기루가 잘 알려져 있다. 위 공기는 차갑고, 아래쪽은 사막의 복사열로 인해 굉장히 뜨겁기 때문에 굴절이 일어나기 쉬운 데다, 사막 지형은 보통 평원 형태라 먼 곳의 신기루가 보이기 쉽다. 공기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가 아지랑이처럼 일렁인다. 온도차가 큰 극지방의 평원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상하가 뒤집어져 보이는 경우도 있고 바로 보일 수도 있고 뒤집어진 상과 바로 선 상이 붙어 보일 수도 있다. 눈앞에 있는 듯 보이면서도 실제로는 없기 때문에 '획득하기 불가능한 목표' 혹은 '실존하지 않는 환상'을 이루기 위해 방황하다가 파멸하는 경우를 두고 '신기루를 쫒는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다만 발생 원리를 보면 신기루는 존재하는 물체가 굴절되어 보이는 것이므로 실체가 있다.

    출처 : 나무위키 - 신기루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감각 시스템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인식하는 것은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의 완전한 표현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신기루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요즘 같이 많이 더울때 바닥에 물이 있을경우 아지랑이바 피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아지랑이가 멀리서 봤을땐 물체로 보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길거리에서 바닥이 물같이 미끌미끌해 보이는 현상은 "위습"이라고 불리는 현상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비가 오거나 고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아스팔트와 같은 물체의 표면에 얇은 물막이 형성되어 미끌거리는 느낌을 주는 것입니다.

    위습 현상의 주요 원리는 물의 표면장력과 접촉각이 관련됩니다. 물은 표면장력에 의해 특정 표면에 접촉할 때 그 표면을 덮는 얇은 물막이 형성됩니다. 이 때 물과 표면 사이의 접촉각이 작아지면 미끌미끌한 느낌을 주게 됩니다.

    비가 온 뒤에 길거리가 물로 젖은 상태에서는 표면과 물 사이의 접촉각이 줄어들어 위습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고습한 날씨에서도 주변의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길거리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하여 위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습 현상은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들에게 미끌거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운전 시 급정거와 급가속을 하지 않고, 물웅덩이를 피해 주행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보행 시에도 미끄러짐에 주의하고, 특히 물웅덩이 주변은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날 길게 늘어진 아스팔트를 보면 바닥이 미끌미끌한 물 같은 신기루를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빛의 굴절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빛은 공기 중에서 굴절합니다. 굴절이란 빛이 매질의 경계에서 휘어지는 현상입니다. 공기의 온도가 다르면 빛의 굴절률이 달라집니다. 뜨거운 아스팔트의 표면은 공기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빛의 굴절률이 달라집니다. 이로 인해 뜨거운 아스팔트의 표면을 바라보면 빛이 굴절되어 물처럼 보이게 됩니다.


  • 뜨거운 햇빛 아래서 길게 늘어진 길 먼 곳에 보이는 신기루 현상은 대기의 굴절(Refraction)과 관련이 있습니다. 대기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밀도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밀도 변화로 인해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빛은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속도가 변화하면서 굴절이 발생합니다. 이 때 빛이 기울어진 경로를 따라 진행하게 되며, 우리 눈에는 이 굴절로 인해 신기루 현상이 관찰됩니다. 신기루는 빛이 대기층의 경계면에서 굴절하면서 반사되거나 굴절된 결과로서, 땅 위에 있는 물체가 하늘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신기루는 대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현상을 보이는데, 주로 낮이나 땅이 더 따뜻하고 대기의 온도가 고르지 않은 조건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물체가 아주 먼 곳에 있을 때, 대기의 밀도 변화가 눈에 더 잘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신기루 현상은 대기와 빛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며, 사실상 물체가 더 크거나 다른 위치에 있거나 실제로 변형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신기루는 빛의 굴절로 인한 눈속임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