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시, 거래대금은 무조건 달러 기준으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무역에 대해 관심이 있습니다
외국과 무역을 하게되면 거래 수단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고,
거래하는 돈은 달러로만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무역거래시의 결제에 사용되는 거래는 결제통화(Currency of Settlement)를 사용하는데 현재는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결제통화로 사용되려면 환율의 변동성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부족하지 않아야 하는 등 조건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의 2021년 수출의 경우, 미달러화의 결제비중은 전년대비 0.3%p 상승한 반면 유로화 및 엔화는 각각 0.3%p, 0.4%p 하락
수입의 경우, 미달러화의 결제비중은 전년대비 2.0%p 상승한 반면 원화, 유로화 및 엔화는 각각 0.5%p, 0.6%p, 0.8%p 하락되었다고 합니다. 원화의 경우 수출 결제 통화로 2021년 15,768 백만달러가 결제 되었습니다.
달러로만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미국 달러화가 압도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무역 거래 시 달러 이외의 통화를 사용해도 전혀 무방합니다. 대금 결제는 매매 당사자간 합의에 의하여 자유롭게 할 수 있기에 어떤 통화를 사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달러를 사용하는 이유는 달러의 경우 전 세계 기축 통화로서 외환 리스크로부터의 안정성이 비기축통화보다 월등하며, 외국과의 거래 시 번거롭게 상대국에게 자국의 화폐를 받을 것을 요구하거나 상대국의 화폐를 따로 마련해서 지불해야 할 필요가 없기에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및 '좋아요'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국제무역 거래 시 대금결제통화와 관련하여 당사자간 합의한 방법으로 정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수출입 시 달러이외의 통화도 사용가능합니다. 국가별로 대금결제 가능 통화를 상이하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달러나 유로 등과 같은 환율의 변동성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부족하지 않은 국제적으로 신용도가 높고 확실한 통화를 사용하는 것이죠.
그래서 국제무역을 하는 많은 기업들이 달러를 대금결제통화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대외거래 영수통화는 미국 달러 등 IMF 8조국, 홍콩 달러, 유럽통화단위(Euro) 등으로 선별 지정되어 있고, 지급통화는 어느 나라의 통화이든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국제 무역 거래 시 대금 결제 수단은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무역 대금 결제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긴 합니다.
다만, 모든 무역 대금결제가 달러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 달러 외에도 유로화, 엔화, 위안화 등으로 대금 결제가 이뤄집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수출입 대금 결제 통화로 달러의 비중이 83.9%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매우 크며, 그 외에는 유로화 5.9%, 엔화 2.6%, 원화 2.4% 등으로 결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무역협회 뉴스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국제물품매매계약은 매도인은 물품을 매수인은 대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많은 무역거래가 달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모든 무역거래가 달러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엔화, 유로화, 위안화, 원화 등 다양한 화폐단위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무역의 거래수단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흔히아는 은행의 송금서비스를 이용하며, 이를 T/T(전신환송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환어음을 수반하는 거래들(D/P, D/A) 거래들도 있으며, 큰 금액의 거래를 할때 사용되는 신용장(L/C)방식의 거래방식도 있습니다. 특히, 신용장거래는 수출선적서류를 은행에만 제시하면 대금을 지급하는 지급조건이기에 수출자에게는 Risk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울러, 대금결제의 경우 당사자간 합의한 통화로 진행하게 됩니다만 통상적으로는 환전이 가장 용이하고 화폐담보력이 높은 USD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USD가 너무 많이 오른경우에는 JPY, CNY, EUR를 이용하여 거래를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USD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무역거래는 당사자간의 자유거래이기에 사실상 어떤 통화를 사용하더라도 문제없으며, 이에 따라 정말 일부의 거래는 현지통화를 사용하거나 KRW로 거래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무역결제방식은 크게 송금(Remittance), 추심(Collection), 신용장(L/C : Letter of Credit) 결제방식으로 구분되며, 결제방식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무역시 대금 결제통화는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다양한 국가 통화단위를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 수입신고 시 관세법에 따라 관세청장이 58개국의 통화단위에 대하여 관세 부과를 위한 과세가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외국통화로 표시된 가격을 내국통화로 환산하기 위하여 외국환거래법에 따른 기준환율 또는 재정환율을 기초로 매주 고시하고 있습니다.
과세환율 확인 사이트 : https://unipass.customs.go.kr/csp/index.do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