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4.01.19

회성에서 사람이 살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

미국에 있는 엘론 머스크가 곧 화성으로 여행을 갈 수 있다고 하던데 화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 정말 화성에서 살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에서 물의 자국이 발견되어 사람이 살 수 있는 유사한 환경이라는 말이 있는데, 대기가 사람이 살 수 없는 대기라서 현재는 살 수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론 머스크가 곧 화성으로 여행을 갈 수

    있다고 하던데 이는 그의 회사인

    스페이스X가 개발 중인

    우주선인 스타십을 이용한

    여행입니다.

    스타십은 아직 개발 중이지만

    2023년 말까지 유인

    우주선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엘론 머스크는 화성에 인간을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타십을 통해

    화성 유인 탐사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스타십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화성 탐사에

    필요한 기술이 확보된다 하더라도

    화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확률은

    아직 높지 않습니다.

    화성은 지구와 매우 다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3분의 1에 불과하며

    대기압은 지구의 0.03%에 불과합니다.

    화성의 날씨는 매우 혹독하며

    우주 방사선의 노출도 매우 높습니다.

    화성의 중력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화성의 대기압을 지구와 비슷하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화성의 혹독한 날씨를

    견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우주 방사선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이 개발된다면 화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아직까지 이러한 기술들이 상용화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습니다.

    엘론 머스크가 곧 화성으로

    여행을 간다고 하더라도

    화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확률은

    아직 높지 않습니다.

    화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확률은

    앞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성의 환경을 지구와 비슷하게 만드는

    기술 개발해야 합니다.

    화성에서 식물을 재배하거나

    동물을 키우는 기술 개발해야 합니다.

    화성에서 자원을 채굴하고

    활용하는 기술 개발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이 개발된다면 화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가능성이 크게 높아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의 공기를 지구화 하는 시간. 혹은 화성에 사람이 살 수 있는 돔 형태의 도시를 만드는 시간. 거기까지 장비를 옮기는 시간 아마도 100년 이상이 걸릴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확률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화성은 지구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인간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닙니다. 화성은 대기가 거의 없고, 온도가 매우 추우며,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 방사선에 노출되는 위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에 거주하기 위해선 그만한 시설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로썬 불가능하며 시설만 있다면 거주가 가능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은 지구에서 오갈 수 있는 태양계에서 제한적이나마 대기가 있고 사람에게 꼭 필요한 물이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행성중 하나입니다. 암석 또한 지구와 비슷한 구조를 가졌기에 인간이 살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고 있는데 독일 브레멘대 응용우주 기술, 미소중력연구센터연구팀은 화성처럼 저압과 이산화탄소, 질소만 있는 대기조건에서도 생명유지시스템을 쉽게 만들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산소뿐만 아니라 물까지 만들어 낼수 있다 하더라도 실제 화성에서 만들어 보지 않았기에 인간이 정착을 해서 시스템을 구축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확히 확률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어렵지만 나사는 2050년까지 화성으로 약 100명정도를 이주시킬 계획을 세울것이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