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귀중한극락조203
귀중한극락조20323.02.13

밥을 짓는 전기밥솥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말그대로 전기 밥솥은 무슨 원리로 밥을 짓게 되는 지가 궁금합니다.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면 더욱더 감사할 거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밥솥의 가열원리는 열판식과 IH방식으로 나눌수있고 열판식은 밥솥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열판이 있고 그 열판위에 물을담은 내솥이 있어 취사시 내솥에 쌀과 적당한 물을 채운후 뚜껑을닫고 스위치를 작동시키면됩니다. 스위치 작동과 동시에 열팓내부의 히타에 통전돼 가열하는 방식입니다.

    IH가열방식은 전자유도방식으로 내솥자체가 발열되는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IH방식은 전기밥솥 밑면과 측면에 구리코일을 감은후 강한전류를 흘려주면 코일주위에 자력선이 형성돼 내솥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솥전체가 통째로 가열돼 쌀알 하나까지 골고루 익혀줘 윤기있고 맛있는 밥을 만들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밥솥의 가열방식은 크게 열판식과 IH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열판식의 경우, 밥솥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열판이 있고 그 열판 위에 물을 담는 내솥이 있어 취사 시 내솥에 쌀과 적당한 물을 채우고 뚜껑을 닫은 후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됩니다. 스위치 작동과 동시에 열판 내부의 히타에 통전돼 열판이 가열되고 가열된 열판의 열이 내솥에 전달돼 내솥 내 온도는 100℃로 상승하고 밥이 끓게 됩니다.
    이후 내솥 내부 밥이 끓는 물의 온도는 더욱 상승해 일정온도(약 120℃)에 도달하게 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스위치가 자동으로 커지며 취사 공정이 완료됩니다. 그리고 밥솥의 옆면 및 뚜껑부에 설치된 보온히터가 발열을 시작해 보온을 시작하게 됩니다.

    IH 방식은 전기밥솥 밑면과 측면에 구리코일을 감은 후 강한 전류를 흘려 보내면 코일 주위에 자력선이 형성돼 내솥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솥 전체가 통째로 가열돼 쌀알 하나 하나까지 골고루 익혀 줘 윤기 있고 맛있는 밥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열판ㄴ시과 IH방식이 있습니다. 열판식은 가열시 열판의 열이 내솥에 전달되는 방식이고 IH는 가열방식이 전자유도방식입니다. 즉 내솥 자체가 발열되는 방식이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 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끓이고, 밥을 짓는 기구입니다. 전기 밥솥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기 열 발생: 전기 밥솥은 전기를 통해 열을 발생시킵니다. 전기는 단지 물을 끓이기 위한 에너지일 뿐, 전기를 통해 발생하는 열이 물의 온도를 올립니다.

    2. 물 끓이기: 전기가 흐르면서 생성된 열은 밥솥 내부의 물을 끓입니다.

    3. 밥 짓기: 물이 끓으면, 밥을 넣고 적당한 시간을 두어 밥을 짓습니다.

    전기 밥솥은 단순하고 편리한 조리 방법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또한, 밥을 짓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열이 높기 때문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밥을 짓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히터가열식

    대부분의 밥솥에서 채택하고 있는 가열방식으로 전기히터인 열판에서 열이 발생되어 솥(내부)에 전달되는 방식이다. 내통의 재질은 테프론 코팅의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다.

    ☞전자유도가열식

    전기 코일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내통이 가열되는 방식이다. 전자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자력선이 솥을 통과하여 발생하는 열이 솥을 직접 가열하고 이 열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가마솥의 원리로 솥의 바닥과 측면을 동시에 가열하는 방식이다.

    ☞전기압력식

    압력밥솥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압력솥과 히터가열식의 2기능을 겸비한 타입이 있다. 취반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며 스테인레스와알루미늄의 이중 내통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