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코로나 바이러스는 면역계에서 어떤과정에 의해 제거가되나요?

나이
29
성별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몸의 면역체계에는 여러 종류, 여러 경로의 면역체계가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예를 들어 항원 항체반응에 의한 효소작용 또는 백혈구에 의한 포식활동 등이 있는데

코로나바이러스는 어떤경로로 캡쳐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바이러스의 경우는 두가지 모두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차적으로는 Bronchus 에 있는 Alveolar macrophage 나 Dendritic cell 을 통해

    잡힌 후 Cell mediate immunity 에 의해 Cytotoxic T cell 이 침범하게 되어 Macrophage 와

    함께 가수 분해라는 살균 작용을 하여 죽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후에 발생한 RNA 조각들에 대해

    Cytotoxic B lymphocyte가 이를 잡아 항원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고 Lymph node 나 Thymus

    로 보내게 되면 이에 대한 Memory T lymphocyte 가 형성되어 다음번 재감염이나 혹은 현재

    증식되고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대거 생성하여 B cell 에 잡아 먹히게 하는 Antigen-antibody

    reaction이 같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대부분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가 존재하는 상황이므로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제거가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는 모든 바이러스들이 그렇듯 체내에서 바이러스 항원을 인식하여 식세포로 항원을 잡아 먹은 뒤 표면 물질을 만들어내면 그 물질을 인식하여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내게 되고, 그렇게 하여 만들어진 항체에 의해서 공격 받아서 제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는 경우 체내 면역계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바이러스와의 대항이 몸속에서 일어나게 되며 백신을 접종하여 미리 항체가 있는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률이 낮고 증상의 정도도 낮아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우리몸의 항체가 공격을 하면서 사멸을 시키는데

    바이러스에 감염이 된다면 이를 항원으로 인지하여

    우리몸에서 항체를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는 경우 우리 몸에서는 항원으로 인식하여 항체를 생성하게 되며 항체가 기존에 있는 경우에는 항원항체 반응으로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면역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T세포의 세포면역기전 그리고 B세포의 체액성면역기전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고 바이러스를 체내에서 제거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우리몸의 면역세포들이 탐식작용, 항체-항원반응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킵니다.

    현재 확진 후 7일뒤에 격리해제하는 배경은 그 정도 시일이 지나면 바이러스 배출이 거의 없고 전염력이 없다고 알려져있기 때문입니다. 격리 해제할 때 추가 검사는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걱정되신다면 마스크 잘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대식세포가 잡아먹고 그 항원을 인식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대식세포와 cytotoxic T 세포가 직접 바이러스를 죽이는 작용이 있지만 바이러스와 싸울 항체를 만들어내는건 helper T cell 에게서 항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B cell 이 plasma cell 이 되면서 항체를 분비해서 싸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바이러스의 특정 항원에 항체가 결합하여 세균 표면을 감싸면, 식세포 활동을 하는 대식세포나 호중구가 작용합니다.

    또는 비특이적 면역으로 바이러스를 외부항원으로 인식하여 바로 식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