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총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 한다는데요..
국민연금 총 자산의 50%이상을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더 높은 수익을 쫓아 주식에 투자한 것 같은데..
이게 앞으로 문제가 될 부분은 없을까요?
안정적인 운용이라면 상관 없겠지만,
그래도 이전까지의 운용했던 전례들을 보면 이래저래 불안한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비중이 커질수록 수익률 기회는 증가하지만 변동성, 손실 리스크도 동반합니다.
연금은 장기 성과와 안정성이 중요하므로 리스크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대간 부담 불평등 문제도 정책적으로 주시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민연금 투자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국민연금의 투자 전문가들은
그것이 그나마 최선으로 보고 투자하는 것이기에
일단 믿어봐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국민연금이 전체 자산 중 대략 국내 증시에 15프로 정도 해외 증시에 36프로 정도 투자해서 50프로 이상이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증시가 폭락하면 연금에 큰 타격이 있겠지만 지금 안정적으로 자산을 운용해도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 연기금들도 보통 절반 이상은 주식투자를 하고 있으니 우리나라도 비슷하게 해야 어느정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거고 투자수익률도 비슷하게 따라 가긴 할거 같습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나라 특성상 잘하면 본전이지만 안정적으로 운용하겠다고 요즘 같이 증시 좋은 장에 주식투자 비중 낮아서 연금운용수익률 안좋으면 그것도 문제니까요!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작성자님께서 말씀하신 국민연금의 주식 비중 확대는 장기적인 수익률을 높여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려는 어쩔수 없으면서도, 나름 긍정적인 전략입니다.
다만,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기금이 대규모 손실을 볼 위험이 커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는 맞습니다. 또한 국민연금의 규모가 너무 커서 국내 증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연못 속 고래' 문제도 심화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고수익 추구와 국민의 노후 자금 안정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투명하고 정교한 위험 관리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핵심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이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린 건 기금 운용 수익률을 높여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한 조치라고 볼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안전한 예·적금(채권) 위주였지만, 이제는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펀드(주식) 비중을 대폭 늘린 거죠. 기금 운용 수익률을 단 1%포인트만 높여도 기금 고갈 시점을 수년 이상 늦출 수 있다고 하니, 수익률을 택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