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편이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색편이(赤色偏移, 영어: redshift 레드시프트[*])는 물체가 내는 빛의 파장이 늘어나 보이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파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파장이 길수록 (진동수가 작을수록) 붉게 보이기 때문에, 물체의 스펙트럼이 붉은색 쪽으로 치우친다 의미에서 적색(赤色) 편이(偏移)라고 불린다.
적색편이는 여러 원인에 의해 일어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에 의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이렌을 울리는 소방차가 관측자에게 다가올 때는, 사이렌의 음높이가 높게 들리지만, 옆을 지나쳐서 멀어져 갈 때는 반대로 소리가 낮게 들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빛을 내는 천체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빛의 파장이 길어지게 된다. 우주론적 적색편이(cosmological redshift)는 공간의 팽창 자체 때문에 빛의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지구에서 수 백만 - 수십억 광년 만큼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들로부터 관측된다. 마지막으로 중력 적색편이 현상(gravitational redshift)은 일반 상대론적 효과로서, 빛이 강한 중력장에서 빠져나오면서 에너지를 잃기 때문에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이다. 적색편이의 반대말로 빛의 파장이 줄어들어 보이는 현상은 청색편이(blueshift)라고 하며, 빛을 내는 물체가 관측자에 가까워지거나, 빛이 중력장 안으로 들어갈 때 발생한다.
출처 : 위키백과 - 적색편이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먼 곳에 있는 성운의 스펙트럼선이 파장이 긴 쪽으로 몰리는 현상으로 적색이동이라고도 한다.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매우 중력이 큰 별에서 나오는 스펙트럼선은 긴 파장쪽으로 몰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도 포함한다.
출처:두산백과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빨간색이 빛의 파장 중에 가장 깁니다.
즉, 적색편이는 파장이 길게 늘어진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색 편이는 별이 멀어질 때 나오는 빛의 파장이 도플러 효과에 의해
실제 빛의 스펙트럼보다 붉은색 쪽으로 치우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가 외부 은하를 관측할 때는 적색 편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색 편이를 통해 우주가 계속 팽창함을 알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색편이는 주로 두 가지 현상으로 발생합니다. 첫째, 도플러 효과에 의한 적색편이입니다. 이는 두 천체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빛의 파장이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빛을 내는 천체가 우리로부터 멀어질 때, 빛의 파장이 늘어나며 적색편이가 발생합니다.
둘째, 우주의 팽창에 의한 적색편이입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팽창하고 있으며, 천체들은 우주의 확장에 따라 멀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빛의 파장도 늘어나게 되어 적색편이가 관측됩니다. 이는 우주의 확장 속도에 비례하여 적색편이의 크기도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색편이는 빛의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빛의 파장이 길수록 붉게 보이기 때문에, 적색편이는 빛이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적색편이는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첫 번째는 도플러 효과로 인한 적색편이입니다. 도플러 효과는 물체가 움직일 때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빛의 파장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물체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질 때는 파장이 길어지고, 가까워질 때는 파장이 짧아집니다. 따라서, 물체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질 때는 적색편이가 발생합니다.
두 번째는 우주 팽창으로 인한 적색편이입니다. 우주는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멀리 있는 은하에서 오는 빛은 점점 더 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멀리 있는 은하의 빛은 모두 적색편이가 발생합니다.
적색편이는 일반상대성 이론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상대성 이론은 우주의 공간과 시간이 중력에 의해 휘어져 있다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은하가 서로 멀어질수록, 공간이 휘어져서 빛의 파장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는 우주 팽창으로 인한 적색편이와 일치하는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