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석면은 우리 몸에 굉장히 안 좋은 광물로 알려져 있는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예전에 우리가 지붕재나 텍스로 활용을 많이 했던 석면은 현재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어서 철거를 하는 데도 전문 업체에 의뢰를 해야 되는 그런 상황인데요.

우리 몸에 안 좋긴 하지만 굉장히 잘 활용을 하면 유익한 광물로 알려져 있는데 잘 활용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석면은 인체에 해로운 미세 섬유 구조로 인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사용하기 어려울 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아시는데로 석면은 광물로 부터 채굴 할 수 있는 천연 물질로서 불연성, 내약품성, 절연성 등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엔 이러한 성질을 활용하여 건축 단열재나 섬유형태로 만들어 의복으로 만들어 입기도 했습니다.

    불에 타지 않기 때문에 소방장갑에도 사용되곤 하였습니다. 한때 기적의 물질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침묵의 살인자 라고 불리울 정도로 그 단점이 치명적이라 사용되지 않습니다. 석면은 오래 사용하다보면 조직이 끊어져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석면 조각이 채내에 들어오게 되면 채내에서 소화가 되지 않고 몸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폐나 신체 장기에 달라붙게 되어 폐암이나 여타 질병들의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석면의 유해성이 밝혀졌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사용을 중지하고 석면 철거 전문업체가 있을 정도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잘활용하는 방법은 사실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정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설면은 다양한 산업과 건축 자재로 활용되어져 왔으며, 침상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한 섬유 입자가 호흡기로 들어가면 세포에 박혀서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존에는 내화성, 내열성, 절연성 등이 뛰어나 지붕의 재료나, 단열재 등에 활용되어져 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석면은 우수한 내열성과 내화학성, 절연성 덕분에 과거 건축 자재 단열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석면 섬유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체내에 들어가면 폐 질환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어 지금은 위험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다만 석면을 완전히 배제하기보다는 안전한 대체물질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석면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비석면 섬유나 복합소재를 활용하여 석면의 장점은 유지하면서도 인체에 해가 없는 방식으로 그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