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습하다해서 꼭 구름이 많은 것도 아니던데, 지구에 구름이 안생기면 어찌되나요?

인공강우이니 뭐니해서

일부러 구름을 만드는 연구도 많은걸로 압니다.

실제 구름이 생기기 위해서는

응결이 되기 위한 씨앗이 있어야 한다고 알고있는데요.

그래서 비행기가 지나갈 때 배기가스 입자가 씨앗역할을 해서

하얀 구름 줄이 생기는 것도 봐서 이해는 됩니다.

그럼 어떤 모종의 이유로

지구에 구름이 생기지 않는 조건이 된다면

과연 지구상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하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지구에 구름이 전혀 생기지 않게 되면 여러가지 기후변화 현상이 나타나게 될것입니다~ 구름은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를 반사하고, 지구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를 잡아두는 역할을하지만 만약 구름이 없다면 낮에는 태양복사에너지가 지표면에 많이 도달하여 기온을 급격히 상승시킬것이며 밤에는 지구복사열이 방출되지만 구름이 없어서 급격히 기온을떨어뜨리게 될것이기에 매우 극심한 기온차이를 나타내게 되는 거겠지용~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비와 눈 같은 강수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만약 구름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면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가 내리지 않게 될것이고 이로 인하여 전세계적인 가뭄이 나타나게 될것입니다~ 강수량 감소는 결과적으로 지표수와 지하수 자원의 고갈로 이어지게 되며 농업이나 생태계 시스템 식수의 공급등 많은부분에 악영향이 미쳐질것이며 결과적으로 크게 영향을 ㅂ다는건 우리 인간들이 되게 될것입니다~ 구름이 생기지 않게 된다면 대기중의 수증기가 계속해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온실가스가 많아지게 되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