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관세 인상으로 무역 비용이 커질 때 소매업계 대응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월마트 CEO가 매주 관세로 비용이 늘어난다고 경고했는데 무역 현장에서 실제로 수입 단가와 물류비용까지 계속 오르는 상황이면 국내 유통업체들은 어떤 방식으로 가격 전가나 계약 조건 재협상을 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가 오르면 수입 단가가 즉시 상승하고 물류비까지 겹치면 소매업체 수익성에 직격탄이 됩니다. 대응 방식은 몇 갈래로 나뉩니다. 우선 해외 공급자와 장기 계약을 맺고 조건을 다시 조율해 관세 부담을 일부 분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체 브랜드나 대체 상품을 늘려 소비자 가격 충격을 줄이는 방식도 고려됩니다. 물류비가 커질수록 직수입 대신 공동구매나 물류망 공유를 통해 단가를 낮추는 시도가 늘어납니다. 소비자에게 직접 전가하기 어렵다면 할인율 축소나 프로모션 기간 단축처럼 간접적으로 가격을 조정하기도 합니다. 업계 전반이 이런 변화에 따라 가격 전략을 세밀하게 손보는 흐름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 내에서의 관세가 고세율로 부과되는 경우 무역에 대한 비용이 상승하고 결국에는 소비자물가는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만,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나 원가절감, 관세부담액의 분담 등의 노력을 하며 대응하고 있습니다.

    다만 어느정도의 소비자 전가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으며, 이는 결국 물품에 따라 경쟁구도가 심한 물품들의 경우 더욱더 가격경쟁력에서의 경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국내 유통업체들은 미국으로 물품을 수출하는 경우보다 한국에 물품을 유통하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미국내 수출기업들의 경우 미국내 유통업체와 이러한 가격 협상에 대하여 협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어느정도의 충격을 수출자가 가져가되 수입자가 주로 리스크를 안은 형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