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과학계에서 최근 지방 맛을 느끼는 6번째 미각도 포함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0~30년전만해도 우리가 느끼는 혀의맛중 감칠맛이나 그리고 지방맛을 느끼는 특유의 고소한 맛은 포함되지 않았엇는데요. 그런데 이번에 과학계에서 6번째 미각인 기름을 느끼는 특유의 고소한맛까지 포함된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올레오거스터스(Oleogustus), 한국어로 느끼한 맛 또는 지방맛이란, 인간의 혀로 느낄 수 있는 맛 중 하나로 기름이 내는 고소한 맛이다. 제6의 맛이라고도 한다. 호주 디킨(Deakin) 대학과 미국 워싱턴 대학교 연구진이 발견하여 미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리피드 리서치' 2012년 1월 온라인판에 발표하였다. CD36이라는 수용체에 지방산[1]이 반응해서 나는 맛으로, 흔히 마요네즈나 참기름 등을 먹을 때 '고소하고 느끼하다'고 말하는 그 감각이다.


      지방맛은 1990년대 일본에서 발표한 감칠맛에 이어 약 20년만에 발견하고 인정받은 새로운 '맛'이다. 여기서 인정이라 함은 짠맛, 단맛 등 기존의 미각과 상관 없는 별개의 독립적인 맛 성분을 느끼는 미각임을, 화학적이고 생물학적인 인과관계에 따라 확실하게 입증받았다는 뜻이다.

      출처 : 나무위키 - 지방맛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지방을 맛을 느끼는 능력을 제어하는 레셉터인 CD36 단백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레셉터는 지방 성분을 감지하고 신호를 뇌로 전달하여 우리가 지방을 맛을 느끼게 합니다. 이전에는 단순히 지방을 맛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식감을 느끼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연구에서 이 레셉터가 지방 맛을 느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2012년에 지방맛에 대한 논의가 되기 시작되면서 근 12년만에 인정된것으로 지방맛은 혀에서 맛을 느끼는 기관인 미뢰가 지방분자를 인지하는 CD36이라는 수용체를 통해서 지방맛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며. 수용체가 많고 적음에 따라 통해 지방맛의 민감도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