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용어 중에 상대습도가 무엇인가요?
폭염, 열대아, 강수량, 습도 '무제한급 여름이 내년에도 온다는 뉴스 중에
"올해는 티베트고기압의 영향도 있었지만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바람이 자주 불어 습하면서 더운 양상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올여름 평균기온은 2018년에 비해 낮지만 평균 최저기온(2018년 역대 4위, 2023년 2위)과 상대 습도(47위, 9위)는 모두 2018년을 앞선다." 내용에
상대습도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는 절대습도와 달리 기온에 따른 습하고 건조한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상대습도는 현재 대기 중의 수증기의 질량을 현재 온도의 포화 수증기량으로 나눈 비율(%)로 나타낸다. 따라서 절대 습도와는 다르게 수증기량이 같더라도 온도에 따라 습도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건조하고 습한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출처 : 나무위키 - 상대습도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 습도란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나타내는 척도 입니다. 이는 동일한 양의 수증기라도 온도 조건에 따라 그 비율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건조하고 습한 정도를 습도라고 한다.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습도는 상대 습도이며, 현재 기온의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실제 수증기량의 비율로 나타낸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이 그 공기의 온도에서 포화수증기량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공기 중에 수증기가 적게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대기중에 있는 물으ㅏ 양과 공기중에 최댜한 들어갈수있는 양아ㅣ 비례라고 생갹을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는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그 온도에서 공기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증기량에 대한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대습도가 100%이면 공기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더 이상 수증기를 흡수할 수 없습니다.
상대습도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상대습도가 낮아집니다. 반대로 온도가 낮을수록 공기는 더 적은 수증기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상대습도가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현재 대기의 수증기 포화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상대습도는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되며,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50%의 상대습도는 대기가 현재 수증기 포화량의 절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대습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대기는 수증기로 포화되어 습한 상태에 가깝습니다. 반대로,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대기는 건조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