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아이가 짜증이 많아지고 소리를 질러요

안녕하세요. 만 1세가 된 아이가 짜증이 전보다 늘고 소리를 지르면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부분이 늘었는데 어떻게 훈육을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강림 보육교사blue-check
    강림 보육교사23.02.01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만1세 이면 어휘력이 늘어나고 습득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이가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아직 소통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에게 훈육보다는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언어로 표현이 미숙한 아이들은 원하는 게 있으면 짜증을 내거나 소리를 지르기도 하므로

    부모님께서는 아이들의 마음을 읽어 주는 게 중요합니다.

    힘들었구나, 먹고 싶었구나 자고 싶지 않았구나 하며 아이의 마음을 대신 읽어 주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 1세의 아이는 말귀가 온전히 통하지 않기에 훈육이 무의미 합니다. 단호한 목소리로 안됨을 알려 주는 정도로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짜증을 내면 자신이

    스스로 화가 더 나고 부정적이게 된다고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세 이전의 아이에게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시키기는 어려운 시기입니다. 즉 3세 이전의 아이에게는 문제행동으로 여기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표현방식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조급한 마음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우선 자주 소리를 심하게 지르는 아이에게는 더 강한 자극이 될 만한 놀이는 피하고, 소리를 지르는 것은 부모가 좋아하지 않는 행동이라는 것을 인식시켜줘야 합니다. 소리를 지르는 아이에게 부모님이 화를 내거나 혼을 내는 방법으로 훈육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해소해 주어야 하는 것인지를 파악해보려는 관심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