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커피마시는멍뭉이
커피마시는멍뭉이

텔레비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7세 딸아이가 텔레비전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원리가 무엇인지 물어보네요. 눈높이에 맞게 쉽게 알려줄수 있는 답변부탁드립니다. 자주 물어바서 난감하네요 ㅎㅎ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레비전(Television)은 멀리 떨어져 있는 장면을 집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기기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영상 신호 전달 원리 텔레비전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전파로 전송하여 수신기에서 다시 영상으로 변환하여 보여줍니다. 즉, 텔레비전은 전기 신호를 전파로 전달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영상을 집에서 볼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2. 디스플레이 원리 텔레비전에서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기술로는 CRT(Cathode Ray Tube) 방식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이 있습니다. CRT 방식은 전자 총(Electron Gun)으로 빛을 발생시키고, 이를 특수한 물질로 코팅된 화면에 찍어서 영상을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LCD 방식은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빛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백라이트(LED 등)로 빛을 발생시킨 후, 액정을 조절하여 영상을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레비전(TV)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향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기기입니다. TV는 크게 송신부, 송신탑, 수신부, 수신기로 구성됩니다.

      먼저, 송신부에서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향 정보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신호를 조작하여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전자기파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으로 송신합니다. 이때, 주파수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주파수에는 특정한 정보가 할당됩니다.

      송신탑에서는 이러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이를 전파하는 수신기가 위치한 장소에서 전파를 수신합니다. 수신기는 전자기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향 정보를 복원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TV 화면에 존재하는 많은 픽셀들이 각각의 색상과 밝기로 조절되어, 완전한 영상이 생성됩니다.

      텔레비전의 원리는 이와 같이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화질과 음질 등의 성능도 크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셀레늄이 광전효과 즉 빛을 받으면 전기가 흐르는 효과.이후 이 원리를 이용하여 셀리늄판을 이용 빛을 셀리늄판에 투과시켜 빛을 전자신호로 바꾸고 역으로 과정을 거처서 빛을 발산하여 화면을 보이게 하는 기술을 알렉산더 베인이 개발하였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텔레비전의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영상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전송된 신호를 받아서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우선, 영상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상 생성: 카메라 등의 영상 입력 장치를 사용해 실제 세계에서 발생하는 영상 신호를 만듭니다.

      2. 영상 변환: 생성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를 모드레이션(Modulation)이라고 합니다.

      3. 전송: 변환된 영상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합니다. 이때, 전파의 주파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전송거리와 화질, 음질 등을 조절합니다.

      다음으로는 전송된 신호를 받아서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1. 수신: 전송된 영상 신호를 안테나 등의 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받습니다.

      2. 해석: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하여 전송 이전의 신호로 변환합니다.

      3. 영상 재생: 전송 이전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등의 장치로 출력하여 영상을 재생합니다.

      이렇게 생성, 변환, 전송, 수신, 해석, 재생의 과정을 거쳐서 텔레비전이 작동합니다. 텔레비전의 원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계속 발전해왔으며, 디지털 신호의 등장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레비젼 수상기는 텔레비젼 방송국에서 보내온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받아 본래의 음성과 영상으로 재생하여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이다.

      가. 만화 영화의 기법 : 아래 그림들은 내연 기관의 동화상을 위한 소재 그림들이다. TV화면에 이 그림들을 순차적으로 바꾸어 붙인다면 피스톤이 상하운동하는 동화상을 얻는다. 참고로 사람의 눈은 1초에 24장의 화면만 바뀐다면 완전한 동화상으로 인식한다.

      나. 가산 혼합(빛의 혼색)

      빛의 혼합은 보다 밝은 색의 빛으로 나타난다. 이를 가산 혼합이라 한다. 예를 들면, 적색(red)과 녹색(green)의 혼합은 밝은 자색으로 된다. 즉, 원하는 색을 내려면 빛의 3원색을 적당한 농도로 혼합하면 된다. TV에서는 3개의 전자총(1전자총-적색, 2전자총-녹색, 3전자총-청색)으로 빛을 섞어 원하는 컬러를 만든다.

      다. TV의 개념

      - 전자총으로 전자빔을 발생한다.

      - 편향 코일은 전자빔의 방향을 조정하여 브라운관의 형광물질에 정확히 도달하게 한다.

      - 전자빔은 형광 물질에 충동하여 빛이 발생한다. 이 빛은 텔레비젼의 화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