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본주식은 최소구매라도 100주를 사야하던데 왜죠?

한 일본게임을 정말좋아해서 그게임에 대해 알아보니 그게임을 만든회사가 일본주식시장에 나와있더라고요 그래서 팬심으로 몇개를 사려했는데 100개이상을 구매해야 할수있다고 뜨더라고요 100개이상이면 만원짜리를 사려고해도 100만이상을 써야 구매가능하니 좀 꺼려지게되어 구매를 포기했습니다만 왜 이렇게 일본주식은 100주이상을 구매해야 구매를 가능할수있게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
      최현빈 경제전문가
      경제연구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단주로 거래하는 단타성 자금을 차단하기 위함도 있고 장기 투자를 유도하기 위함으로 보입니다

      • 중국의 경우도 단주거래가 불가능하고 한 때는 매도를 금지한 적도 있습니다

      • 이처럼 아시아권국가에서 증권시장 특이한 제도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 주식시장에서 최소 거래단위가 100주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역사적 관행

      - 일본 주식시장은 오래전부터 100주를 최소 거래단위로 설정해왔습니다.

      - 이는 주식 거래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위한 관행으로 정착되었습니다.

      2. 주가 안정화

      - 높은 최소 거래단위는 주가 변동성을 줄이고 시장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소액투자자의 참여를 제한함으로써 투기적 거래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3. 기업 및 투자자 보호

      - 높은 거래단위로 인해 소액투자자의 손실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 또한 상장기업의 주가 변동성을 완화하여 기업 가치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4. 거래비용 절감

      - 100주 단위 거래로 인해 거래 횟수가 줄어들어 거래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증권사의 운영비용 감소로 이어져 투자자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소액투자자의 시장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일부 증권사에서 1주 단위 거래를 허용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JP.stock과 같은 플랫폼이 등장하여 소액투자자도 일본 주식에 쉽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기업의 주식을 구매하고 싶으시다면, 거래 가능한 플랫폼이나 증권사를 찾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본 주식시장의 특성과 최소 거래단위를 고려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투자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주식에 대한 수요가 적고 증권사에서는

      이런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비용이 소요되기에

      이에 따라서 많은 양의 최소 거래 등을 설정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나라마다 주식거래 최소단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미국은 없지만 일본, 홍콩 등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일본 증권사들은 주식 거래 시 최소 거래 단위를 100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유동성을 유지하고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은 거래 단위로 인한 거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규칙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일본 주식을 100주 단위로 구매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본 주식을 100주 단위로 거래해야 하는 것은

      토쿄증권거래소의 업무 규정과 상장 규정이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주식의 경우 100주단위로 거래를 하게 만들었던 것은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