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궁금돌이
궁금돌이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경기회복세일 때 금리 인하를 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가 있다고 하는데요.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회복이 진행되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여 수요가 상승합니다. 이때 금리를 인하하면 과도한 수요가 발생해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고 경제의 불안정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 금리가 낮아지면 자산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면 자산 시장에서 버블이 형성될 위험이 커집니다. 버블이 터지면 큰 경제적 충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금리 인하는 시중에 더 많은 돈이 풀리게 하여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지만,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미 경제가 회복 중인 상황에서는 수요가 과도하게 증가해 물가가 급격히 오를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는 자산 시장에 과도한 자금을 유입시켜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 가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산 가격의 급등은 거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거품이 꺼질 경우 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더불어, 금리 인하는 기업이나 가계의 차입 비용을 낮추어 과도한 부채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며, 장기적으로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경기 회복 중에 금리를 인하하면 향후 경기 침체 시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이 줄어들어 경제 안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위험자산에게 있어 금리인하는 분명 호재로 여겨지지만 중앙은행은 앞으로 경기침체가 일어날 징후가 보일시 금리인하를 시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증시 전문가중에는 오히려 중앙은행에서 금리인하를 시작할때 조심해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데 여기에 또 금리를 인하해주게 되면 오히려 물가가 상승하면서

      국민들의 소득은 올라가지만 그에 따라 물가까지 같이 상승하며 실제 생활 수준은 오히려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이것이 실질금리 인데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면 은행에 돈을 맡겨두는 것만으로도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경기 회복세가 뚜련한 상황에서 이러한 금리인하가

    동시에 진행된다면 자산 시장 등에서 과열될 수도 있고

    더불어서 물가상승 등을 상당히 초래할 수 있는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부정적이 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리 인하시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것이 바로

    물가 상승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회복세가 뚜렷할 경우 금융정책 측면에서는 금리 인하의 필요성이 그리 크지 않습니다. 만약, 경기 회복기에 금리를 인하하거나 금리 인하 시그널이 시장 컨센서스로 작용할 경우 과도한 자산 가격 상승을 불러 올 수 있고 주식, 부동산 시장에 버블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진행된다면 오히려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소비 및 투자 등을 촉진시킴에 따라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대를 통해 물건 가격을 상승시켜 물가 상승을 촉발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