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의이론이뭔지궁금해요.회사서 공부하라던데..
회사서 보의이론이 뭔지 공부좀하라던데 간단히 설명해주실분없는지가 궁금해요. 혹시나 아시는전문가닝 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보의 이론’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설계의 기초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는 보가 받는 하중의 전달 및 처짐 특성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선형 탄성 이론의 단순화된 형태로, 보가 횡하중만 받을 때의 작은 처짐에 해당하며 보의 이론에는 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오일러-베르누이 보 이론 : 이 이론은 보의 단면 회전에 의한 관성효과를 무시하며, 전단 변형을 무시한다는 가정 하에 사용됩니다.
티모센코 보 이론 : 이 이론은 오일러-베르누이 이론과 달리 단면의 회전에 의한 관성효과와 전단 변형을 고려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보의 굽힘 이론(classical beam bending theory)에 대하여 복습한다. 이는 거의 모든 구조 설계와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 대상이다. 다소 명확하지는 않지만, 기둥의 좌굴(column buckling)과도 또한 관련이 있다.
곡률 반경 (Radius of Curvature)
보의 굽힘에 있어서 곡률 반경은 기본이 되므로 복습하도록 한다. 곡률 반경은 통상 그리스 문자, ρ,로 나타내고, 그래프의 일부분, 도로의 커브, 또는 대부분 경로의 일부와 같은 곡률을 갖는 원의 반경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경로가 직선이면, ρ는 무한대이고 날카로운 곡선이면 매우 작을 것이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보의 이론은 휨 부재의 거동을 연구하는 이론입니다. 휨 부재란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구조물로, 압축이나 인장에 비해 휨에 취약한 구조물입니다. 예를 들어, 다리, 기둥, 보 등이 휨 부재에 해당합니다. 보의 이론은 휨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과 변형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휨 부재의 강도, 강성, 처짐 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보에서 외력에 의해 휨이 발생할 때, 변형 전에 부재축에 수직한 평면은 변형 후에도 부재축에 수직하다는 가정을 만족하는 보의 이론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