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가즈아인생살이
가즈아인생살이

환경을 위해서 전기차를 타는 것이 맞는 이야기 인가요?

환경을 위해서 전기차를 타는 것에 대해서

어떤 이들은 그 전기 자체를 생산하는 것이 발전소이기 때문에

친환경과는 거리가 멀다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전기차는 정말 친환경 차량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전기차를 두고 친환경이 맞는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은 주로 어디까지를 '환경 영향'으로 볼 것인가에 달려있습니다. 전기차 자체는 달릴 때 매연을 전혀 내뿜지 않으니, 도시의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데는 분명히 도움이 됩니다. 이 점에서는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전기차에 들어가는 전기를 석탄이나 가스로 만드는 화력발전소에서 생산한다면, 발전소 굴뚝에서는 여전히 오염물질과 온실가스가 나옵니다. 차만 깨끗해졌을 뿐,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은 깨끗하지 않다는 비판이 여기서 나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 점점 더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바뀌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래에는 더욱 깨끗한 전기 비중이 늘어날 것이고, 그러면 전기차의 친환경 효과는 훨씬 커지겠죠. 그리고 발전소는 개별 자동차 엔진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쓰고 오염물질 관리도 더 잘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차량을 만들 때나 다 쓴 배터리를 처리할 때도 환경 부담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배터리 만드는 과정에서 에너지도 많이 들고 광물 채굴 문제도 있죠.

    결론적으로, 전기차가 모든 면에서 완벽한 '무공해' 차량은 아닙니다. 하지만 차량이 만들어지고 달리고 폐차될 때까지 모든 과정을 따져봤을 때, 대부분의 연구에서 동급의 휘발유나 경유차보다 전기차가 전체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특히 온실가스 배출)이 더 적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친환경차가 맞습니다.

    전기차 반대론자의 주장중의 하나가 전기차는 친환경차가 아니다란 논리로 전기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된다는 이유 입니다.

    사실 일부는 맞을수도 있습니다.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의 경우 국내 발전원별 발전량을 보면 50%는 화석연료발전(석탄+천연가스) 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기차의 친환경성을 전기 생산원에 비교할 것이 아니라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교를 해야하기 때문에 전제가 틀렸습니다.

    내연기관 자동차는 이동시에 질소/황산화물 같은 대기오염 물질과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만들어내고 있는데 전기자동차는 그러한 대기오염물질과 이산화탄소를 전혀 생산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전기차를 타는 것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가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운전 중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도심에서 운전할 때 배기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 질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면 됩니다. 이런 이유만으로도 전기차가 친환경 차량이라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기차량은 친환경 차량이고 법적으로도 분류되어져 있습니다.

    이는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전기 자동차를 환경친화적

    자동차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 처럼 전기차는 생애 전주기로 보자면 생산과정에서 탄소배출과 전기차 폐배터리 처리 및 재활용 기술이 부족하여 환경오염이 우려 되고 있습니다.

    법적으로는 친환경적이라 하지만 완벽한 형태는 아니라고 보여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