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날으는피자
날으는피자

장갑끼고도 스마트폰 터치가 되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원래는 손에 전기가 흐르니까 그걸로 스마트폰 터치를 한다고 들었어요. 근데 장갑을 끼고도 터치가 되는건 어떤 원리인건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은 대개 정전 용량 방식으로 작동해요. 이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에 닿았을 때 전기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위치를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는 이 전기 용량의 변화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터치가 어렵죠. 그러나 일부 장갑은 전도성 섬유로 만들어져 있어 손가락의 전기 신호를 화면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전도성 섬유는 전기를 잘 통하는 재료로, 이 소재가 손가락과 터치스크린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매개하여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장갑을 끼고도 스마트폰을 터치할 수 있는 것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작동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는 손가락의 전기적 성질을 감지하여 작동하는데, 이때 손가락이 전도체 역할을 합니다. 특정한 장갑은 전도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손가락의 전기적 성질을 터치스크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장갑 자체가 전자기장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도성 장갑을 사용하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스마트폰의 최근 터치방식은 정전식 터치방식인데요. 이런 정전식 전도방식은 스마트폰을 장갑을 낀상태에서도 가능하게 하는데요. 이는 장갑의 섬유가 전도성 섬유이기 때문에 가능한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장갑 중에서 손가락 끝 부분처럼 전기가 흐르는 섬유로 만든 장갑들이 있어요~

    장갑을 끼고 터치를 했을 때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탐지되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터치 컨트롤러는 전류가 변화하는 좌표를 파악해서

    해당 부분이 손가락으로 눌린 것처럼 UI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정전식 터치 방식을 사용하는데요, 이 방식은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여 작동합니다. 일반 장갑은 전류를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터치가 인식되지 않죠. 하지만, 전도성 실을 사용하여 만든 전도성 장갑은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스마트폰 화면에 전달하여 터치를 가능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