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성이 아닌 갈색왜성이 태양보다 뜨거운 온도도 있다고 하던데 그이유는 무엇일까요?
항성이 아닌 준항성으로 불리우는 갈색왜성이 태양보다도 뜨거운 경우도 있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태양보다도 더 온도다 높은게 존재하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갈색왜성이 태양보다 뜨거운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질량입니다. 갈색왜성은 항성이 되기에는 질량이 부족하지만, 행성보다는 질량이 큽니다. 질량이 클수록,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와 압력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질량이 큰 갈색왜성은 태양보다 더 뜨거운 온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구성 성분입니다. 갈색왜성의 구성 성분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갈색왜성은 탄소, 산소, 질소와 같은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금속 원소는 수소와 헬륨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갈색왜성은 태양보다 더 뜨거운 온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이 되다가 그러니까 태양 같은 별이 되려다가 실패한 경우에 보통 갈색왜성이 되는데요
항성처럼 활발한 핵융합은 어렵지만 핵분열은 일어나게 되어 높은 온도를 갖게 됩니다. 단지 엄청나게 밀적된 질량으로 인해 그 속도가 느립니다.
하다보니 우주에 다양한 질량으로 형성된 갈색왜성들이 있는데 작은 항성이 되다 실패한경우는 1000도 (태양보다 낮음) 높은경우는 (7700도) 태양보다 지표면 온도가 높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WD0032-317B는 일반적인 갈색왜성의 범주를 훌쩍 뛰어넘는다고 합니다.
먼저 WD0032-317B는 목성의 75~88배에 달하는 질량을 갖고있으며 표면온도는 우리 태양보다 훨씬 뜨거운 7700°c에 달한다고 합니다.
여기에 한쪽 면만 계속 백색왜성을 향하고 있어 한쪽은 7700°c에 달하지만 반대쪽은 1000~2700°c로 극단적인 온도차를 보인다고 하네요
일반적인 갈색왜성에 대한 이해를 무시하는 특성을 가진 독특한 천체라 아직 정확한 정보는 없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갈색왜성이 태양보다 더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드릴게요.
갈색왜성은 수소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아서 태양과는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태양은 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반면, 갈색왜성은 이러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그리고, 갈색왜성은 태양보다 많은 무게를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은 약 330,000 지구질량에 해당하는 반면, 갈색왜성은 태양의 13배나 되는 4,400 지구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더 많은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갈색왜성의 중력이 더 강력하며, 이로 인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온도가 더 높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갈색왜성은 태양보다 더 느리게 냉각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태양은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냉각되지만, 갈색왜성은 이러한 핵융합 반응이 없기 때문에 내부에서 생성된 열이 더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갈색왜성은 태양보다 더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갈색왜성 중에서도 가장 뜨거운 온도를 가지는 것은 브라운 드워프라는 하위 분류에 속하는 천체입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갈색왜성은 태양과는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성하고 더 많은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보다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갈색왜성은 찾기도 어렵고, (어둡고 숫자도 적어서) 연구가 많이 되지 않아서 아직 자세히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태양의 표면이 6000도 인데, 온도가 7700 도 인 갈색왜성도 있다고는 합니다.
하지만 태양 코로나 온도는 100만도 까지 올라간다고 하니, 전체적인 에너지양은 태양이 훨씬 높은 것은 맞습니다. 일부 예외적으로 온도가 높은 갈색왜성이 있다.. 정도로 생각해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