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섬진강은 왜 바닷물이 올라오는 염화현상이 생겼나요?

섬진강이 원래는 짜지 않은 민물이었어요.

그런데 갑자기 가뭄이 들었는지 민물대신 바닷물이 밀물과 썰물로 들어갔다 나오는 일을 반복하더라고요.

그래서 게와 조개들이 좋아할만큼 강 밑바닥에 소금이 섞인 뻘도 형성되었죠.

무엇 때문에 섬진강에 염화현상이 생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한마디로 강 유지유량 감소로 인해 염화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현재 섬진강에는 상류에 섬진강댐이 조성돼 댐 물을 동진강으로 흘려 전북 정읍·김제 등지의 농업 및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고 중류에는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보성강 수계에 주암·동북댐을 건설해 역시 유역 변경을 통해 광주·전남지역

    상수원으로 활용한 다음 영산강으로 흘려보냅니다. 하류의 수어댐에서는 다압취수장에서 하루 55만t 규모의 용수를

    취수해 인근 광양제철소와 광양시의 공업용수 등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또 인근 광양제철소의 부지 매립과 제철소와 인근 공단에 드나드는 대형 선박들의 항로 건설을 위해 바다 모래 등을 준설

    하면서 바다 수위가 올라가 강 하구까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섬진강 입구의 염도가 급격히 상승해 염화현상이 더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섬진강의 염화현상은 여러 이유에 의해 발생합니다. 

    설명드려보자면. 

    1. 가뭄: 최근의 가뭄으로 인해 강의 수위가 낮아져 민물이 줄어들고, 바닷물이 쉽게 들어오게 됩니다.

    2. 조수 간섭: 섬진강의 하구가 바다와 가까워 밀물과 썰물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로인해서 바닷물이 강 안으로 밀려 들어옵니다. 

    3. 지형적 특성: 강의 유로와 주변 지형이 바닷물의 침투를 쉽게 만들어, 염도가 증가하는 환경을 만듭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겹쳐지면서 강 바닥에 소금이 쌓이고, 게와 조개 같은 염생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는거죠.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