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 거부를 하는 아이에게 부모가 어떻게 지도를 지도 해야 하는지 법이 궁금합니다
초등학교를 다니면서 학교폭력 피해를 잠깐 입은 적이 있는데 그 이후로 등교 거부를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지도를 해야 좋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 아이가 학교 폭력의 피해를 당했다고 해서 지나치게 흥분하는 태도를 보인다면 아이의 불안감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뜻한 말로 아이를 위로하고 지지해 주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또한 부모님이 언제나 든든하게 지켜주고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세요.
아이가 학교 피해의 후유증을 앓고 있다면 정신과 전문의, 심리치료 센터 등을 방문하셔서 도움을 요청하시고 부모님도 함께 상담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학교 폭력을 당한 경험으로 인해서 등교를 거부한다면 아이가 학교 폭력으로 인한 심리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심리 상담 센터에 방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충격이 컸던만큼
심리치료도 해주시고
부모님이 옆에서 무한한 지지를 해주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전학을 시켜주던가
그러한 방법으로 아이가 새로운 친구를
만나게끔 도와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등교 거부에 대해 이해하고 그 이유에 대해 대화해 보시는게 좋아요.
아이에게 왜 등교를 싫어하는지 물어보시고 아이가 불안하거나 걱정되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하도록 해주세요.
이를 통해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등교를 거부할 때에는 지원과 격려가 필요해요.
아이가 불안 또는 걱정을 느끼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고 아이 스스로 자신을 돕고 지지해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안정감을 주시는게 좋구요. 너를 믿고 있고 등교할 때 네 곁에 있을 거야 라는 메시지를 주시는것도 좋은 방법이예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학교 폭력으로 인해 학교 등교를 거부하는 경우
아이 심리상태를 먼저 치유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발생한 트라우마로 인해 같은 장소에 가기 싫어하는 것은 당연한 증상입니다.
가까운 상담기관을 방문하여 아이 심리치료를 선행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마음에 일단 공감을 해주셔야 할 것 같아요.
아이가 힘들어 하는 마음을 알아주시고, 자주 대화를 나누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강제로 학교를 보내게 되면 아이는 또 상처를 받게 되므로, 잘 다독거려 주시고, 아이와 잘 상의해야 될 부분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충격적인 일을 경험했기 때문에 학교를 간다는 게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이를 사랑으로 대해 주셔야 할 것 같아요
학교 담임 선생님과도 상담을 통해서 종일 수업 보다는 단축 수업을 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 같아요.
적응을 하면 조금씩 늘려가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