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어린관박쥐58
어린관박쥐5824.03.07

우주공간에서도 피가쏠릴수가있나요 ?

사람이 빙글빙글돌거나 거꾸로 매달리면 피가 쏠려서 현기증이 나고 어지럽잖아요 ?이게 중력때문일것같은데 그럼 우주공간에서는 중력이 없으니 피가한쪽으로 쏠릴일도없으니까 지구기준에서 거꾸로 매달려있다 라는 개념도 없는건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빙글빙글 돌거나 거꾸로

    매달리면 현기증이 나는

    것은 중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에서 중력은 우리 몸을 아래로

    잡아당기고 혈액은 이러한 중력에 반항하여

    몸 전체에 골고루 분포됩니다.

    빙글빙글 돌거나 거꾸로 매달리면 중력 방향이 바뀌고

    혈액은 순간적으로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합니다.

    그 결과 혈액이 머리쪽으로 쏠리거나 몸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면서 현기증 어지러움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우주 공간에서는 중력이 없기 때문에 혈액이 특정 부위

    에 쏠리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지구 기준에서 거꾸로 매달려 있다는 개념도

    사실상 의미가 없어집니다.

    우주 공간에서도 혈액 순환에는 변화가 발생합니다.

    무중력 상태에서는 중력이 혈액을 아래로 잡아당기지 않기

    때문에 혈액은 머리 부분에 더 많이 분포하게 됩니다.

    이는 우주 비행사들이 얼굴이 붓거나 머리가 울렁거리는

    증상을 느끼는 이유입니다.

    지구에서 빙글빙글 돌거나 거꾸로 매달리면 현기증이

    나는 것은 중력 변화에 따른 혈액 순환 변화 때문입니다.

    우주 공간에서는 중력이 없어 혈액이 특정 부위에 쏠리는

    현상은 없지만 무중력 상태로 인해 혈액

    순환에는 다른 변화가 발생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빙글빙글 돌거나 거꾸로 매달리면 피가 쏠리는 것은 맞습니다. 이는 중력 때문이 아니라 내부의 균형감각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중력은 지구의 무게 때문에 발생하는 힘으로 우리 몸의 혈액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 빙글빙글 돌거나 거꾸로 매달리면 혈액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현기증이나 어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우주공간에서는 중력이 없기 때문에 혈액이 한쪽으로 쏠리는 일은 없습니다. 그래서 지구 기준에서 거꾸로 매달려있다는 개념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우주공간에서는 중력이 없기 때문에 혈액이 아래쪽으로 쏠리지 않고 몸의 균형감각도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주선 내부에서는 중력이 시뮬레이션되어 혈액이 아래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 우주선에서도 혈액이 한쪽으로 쏠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지구의 중력과는 다른 형태의 중력이기 때문에 현기증이나 어지러움을 느끼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우주선 내부에서는 중력이 시뮬레이션되어 혈액이 아래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지구에 존재하는 것은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지구상 모든 물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습니다

    우주에서는 중력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피가 쏠리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