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불교의 예식 중에서 수계식은 무엇이며 어떤 절차로 진행되나요?

기독교에 세례식이 있는 것처럼

불교에 수계식이라는 것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불교의 수계식은 무엇이면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계식이란 부처님 뜻에 따라 살겠다고 마음 모은 사람들이 가장 밑바탕이 되는 몇 가지를 다지는 의식입니다. 가장 먼저 받는 오계는

    ① 산목숨 죽이지 않겠다. ② 주지 않는 것을 가지지 않겠다. ③ 여자와 남자, 서로 떠받들고 우러르며 사이좋게 지내겠다. ④ 거짓말하지 않겠다. ⑤ 술을 취하도록 마시지 않겠다. 등 다섯가지 다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의 수계식은 기독교나 천주교의 세례식 보다 약간 더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수계방식은 삼사칠증과 인례사 만이 참석하는 비공개 방식이라고 합니다. 사진촬영도 일체 불허됩니다. 구족계는 먼저 첫날 입방 심사를 한다고 합니다. 신체 결함 등 부적격자를 가려내고 이후 1주일간의 교육을 거친 뒤 4급 승가고시를 치른다고 합니다. 여기 까지 통과한 사미(니)는 구족계를 받습니다. 참회식과 계목을 하나 하나 읊는 과정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사바라이죄는 상세하게 설하고 나머지 246계목은 읽는 형식입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방식은 비밀에 부쳐져 있어 알 길이 없다고 합니다. 비구계를 받으면 종단에서 마련한 가사와 계첩을 받게되고 이후 종단의 여러 공직도 맡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는다고 합니다.

  • 오계를 지키며 부처님 처럼 살겠다는 것을 약속하는 의식입니다.

    오계란.

    불교에 입문한 재가(在家)신도가 지켜야 할 5가지 계율.

    원어명 pauca śīlāi

    불교도이면 재가자나 출가자(出家者) 모두가 지켜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규범이다. ① 살생하지 말라[不殺生]. ② 도둑질 하지 말라[不偸盜]. ③ 음행을 하지 말라[不邪淫]. ④ 거짓말을 하지 말라[不妄語]. ⑤ 술을 마시지 말라[不飮酒]의 5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