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

어느 성씨, 어느 파인지 쉽게 알 수 있나요?

우선 저는 '영천 이' 씨입니다만, 알고 있는 내용은 전부입니다. 조상님들께는 죄송합니다만 어느 파인지는 모르고 지냅니다. 국가 및 민간에서 운영하지만 일반인들이 뿌리를 알 수 있는, 검색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이 있나요? 아니면 '영천 이' 씨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내용이 있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천 이씨(永川李氏)는 알평공계(謁平公系) 이씨에서 분종된 것으로 전해오고 있으나 문헌상 기록을 찾지 못하여, 고려 초기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고울군(高鬱君)[영천의 옛 이름]에 봉해진 이문한을 시조로 하여 10개 파로 나누어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영천 이씨 [永川李氏]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내가 속한 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족보를 찾아보는 것이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천 이씨(永川 李氏)에 대(對)하여



      1. 영천 이씨(永川 李氏) 시조(始祖) : 이문한(李文漢)


      2. 영천 이씨(永川 李氏) 유래(由來) :



      영천 이씨(永川 李氏)의 시조(始祖) 이문한(李文漢)은 고려(高麗)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6세손 익양군(益陽君) 이극인(李克仁) 이후(以後)의 계보(系譜)는 실전(失傳)되어 분명(分明)하지 않고, 고려시대(高麗時代)를 기점으로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지내고 영양군(永陽君)에 봉(封)해진 이대영(李大榮 : 시호(諡號)는 문정)과 영동정(領同正) 이박(李磗)를 각각(各各) 파조(派祖)로 하는 2계통이 있다.




      3. 영천 이씨(永川 李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영천(永川)은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시(永川市) 일원의 옛 지명(地名)으로 고대(古代) 골벌국(骨伐國)이었던 것을 초기(初期) 신라(新羅) 때에는 절야화군(切也火郡)이라 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였다. 925년(경애왕 2)에 고울부(高鬱府)로 고쳐 불렀고, 도동현(道同縣) · 임천현(臨川縣) · 맹백현 · 이지현(梨旨縣) 등의 현들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도동 · 임천현을 합(合)하여 영주군(永州郡)이라고 불렀으며,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를 파견하였다.


      1018년(현종 9)에 경주(慶州)에 편입(編入)되었다가, 1172(명종 2)에는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獨立)하였고, 후(後)에 주(州)로 승격(昇格)되었다. 1414년(태종 14)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대구부(大丘府) 영천군(永川郡)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이 되었다. 1914년에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신녕군(新寧郡)이 영천군(永川郡)으로 폐합(廢合)되어 영천면(永川面)을 신설하였다. 1937년 영천면(永川面)이 읍(邑)으로 승격(昇格)하였다. 1981년에는 영천읍(永川邑)이 시(市)로 분리(分離) 승격(昇格)했고, 1995년 영천군(永川郡)을 영천시(永川市)에 통합(統合)하였다.




      4. 영천 이씨(永川 李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서승공계(署丞公系)


      -상서공파(尙書公派) : 2개 지파


      -상장군파(上將君派) : 7개 지파


      -영양군파(永陽君派) : 12개 지파


      울산군계(鬱山君系)


      -영동정공파(領同正公派) : 8개 지파




      5. 영천 이씨(永川 李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경상북도 영천시 교동


      - 경상북도 경산군 하양읍 은호동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산야동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동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동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동


      -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 황해도 황주군 황주읍 예동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