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갸름한미어캣256
갸름한미어캣25624.04.14

조영제가 신독성 약물이라 신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게 되었는데 정상보다 신장 기능이 조금 떨어진 정도는 조영제를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나이
2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항생제,알파차단제,베타네콜

안녕하세요 제가 몇 달간 항생제를 먹었고 방광 수축 기능에 문제로 약을 복용하고 있어 이로 인해서 신장 기능이 안 좋다고 들었는데 긴급할 정도로 아주 심각한 정도는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다른 병원에서 ct 촬영으로 조영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조영제는 신장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사용하면 급격한 신장 기능저하와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혹시 신장 기능이 저하된 사람이 조영제를 사용하게 된다면 신장이 손상을 받거나 신부전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아 위험하다고 봐야 하나요? 아니면 조영제를 맞아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혹시 조영제로 인해서 신장 기능이 저하되거나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다면 자다가 급사할 가능성도 있나요..?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나 증상이 있을까요?

미리 말씀드리지 못하고 조영제를 투여하면 위험할 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조영제는 신장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조영제 사용으로 인한 급성 신손상(Contrast-induced acute kidney injury, CI-AKI)은 조영제 사용 후 48-72시간 이내에 신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말합니다.

    신장 기능이 경미하게 저하된 정도라면 대부분 조영제 사용이 가능하지만, 위험도 평가와 적절한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구체여과율(GFR) 30 mL/min/1.73m2 이상이면 조영제 사용이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GFR이 30 mL/min/1.73m2 미만인 경우, 당뇨병이나 심부전 등 다른 위험 요인이 동반된 경우에는 조영제 사용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조영제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다음과 같은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검사 전후로 충분한 수분 공급을 합니다.

    2. 저삼투압 비이온성 조영제를 사용합니다.

    3. 조영제 용량을 최소한으로 줄입니다.

    4. 조영제 사용 전후로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합니다.

    5. 신독성 약물(NSAIDs, aminoglycosides 등)의 병용을 피합니다.

    CI-AKI가 발생하더라도 대부분은 가역적이며, 적절한 수분 공급과 신장 기능 모니터링을 통해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우 드물게 급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투석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조영제 사용 후 수일에서 수주 내에 신장 기능이 회복됩니다.

    CI-AKI로 인한 급사는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그러나 조영제 사용 후 소변량 감소, 부종 등 신부전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담당 의사 선생님께 기저 신장 질환과 신장 기능 저하에 대해 미리 알려드리고, 조영제 사용의 필요성과 위험성에 대해 상의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의사 선생님께서 환자분의 상태를 고려하여 조영제 사용 여부와 예방 조치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해주실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있다고 미리 이야기하고 검사를 받으시면 됩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급성으로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며 수액을 맞으면서 검사를 진행하면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자다가 급사하는 일은 거의 없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어쩔수 없이 조영제검사를 해야한다면 신기능이 좀 떨어져있더라도 해야겠지요.

    신독성이 있는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