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뱀이 동작이 느려도 육식하는 포유류보다 더 쥐를 잘 잡는 이유

식육목에 속한 포유류 중 쥐를 잘 잡는 동물은 고양이, 삵, 스라소니, 서벌, 카라칼, 개, 늑대, 코요테, 자칼, 여우, 너구리, 족제비, 담비, 오소리, 수달, 몽구스, 미어캣, 사향고양이 등 작지만 영리한 사냥꾼이잖아요.

하지만 육식성 포유류는 쥐를 쫓아가서 앞발을 휘둘러도 놓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뱀도 동작은 느리지만 길고 매끄러운 몸과 무서운 혀를 내밀며 몰래 쥐가 숨은 장소를 잘 찾더러고요.

또 어떤 점에서 식육목 포유류보다 더 숨은 쥐를 잘 찾아서 잡아먹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뱀이 육식 포유류보다 쥐를 잘 잡는 이유는 주요 감각기관을 활용하여 사냥하기 때문입니다. 뱀은 야행성 동물이 많아 눈이 잘 보이지 않지만, 혀를 이용해 공기 중의 화학 물질을 탐지하고, 피트 기관을 통해 먹잇감의 체온을 감지하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반면, 육식 포유류는 시각과 후각에 의존하지만 뱀처럼 쥐의 체온까지 직접적으로 감지하지는 못하여 숨어 있는 쥐를 찾아내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뱀은 육식 포유류보다 더 효과적으로 숨어 있는 쥐를 사냥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쥐를 사냥하는 능력에 있어 뱀이 식육목 포유류보다 유리한 점은 열 감지 능력입니다.

    식육목 포유류는 주로 시각, 청각, 후각에 의존하여 쥐를 찾아내지만, 뱀은 열을 감지할 수 있어 굴이나 틈새, 혹은 어두운 곳에서도 쥐의 체온을 감지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식육목 포유류는 후각에 의존하더라도 쥐가 숨어 있는 장소에 다양한 냄새가 섞인다면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시각이나 청각에 의존할 경우 쥐가 완전히 숨어 버리면 찾기가 어렵습니다.

    게다가 뱀은 변온동물로, 포유류보다 에너지 소비가 훨씬 적습니다.

    따라서 쥐를 사냥할 때 장시간 매복하며, 쥐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동안에도 체온 유지를 위해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지 않습니다. 이는 사냥꾼으로서의 큰 장점이기도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