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올라잇
올라잇

삼성전자가 과연 hbm4에서 역전을 할 수 있을까요

삼성전자가 1b공정을 엄청나게 못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1c공정으로 hbm4부터 역전을 노린다는데 과연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기술적으로 단계를 하나 뛰어넘어서 가겠다는 것인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HBM에 대한 역전을 노리는 시도는 좋아 보이지만 오히려 기존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 만약 HBM에 대한 기술을 따라잡을수만 있다면 기존 인프라와 함께 시너지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2020년 당시 TSMC는 3나노이하에서 핀펫공정으로 삼성의 격차를 앞지르고 있었습니다. 당시 삼성전자 파운드리를 미래 먹거리로 선정하면서 본격적으로 이 TSMC의 점유율을 빼앗고 빅테크의 NPU와 GPU와 같은 핵심 반도체의 선단공정을 GAA라는 (게이트올어라운드) 방법으로 2나노 1나노로 빠르게 미세공정으로 가면서 따라잡겠다고 시장에서 공공연히 발표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들어서 보여준건 오히려 TSMC와 격차만 벌어졌고 빅테크의 수주는 전혀없고 2022년 일부 퀄컴이나 AMD로 일부 수주받은것도 실제 제품에서 발열이슈나 문제가 생기면서 이들물량도 다시금 TSMC로 가게된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지금도 오스틴공장은 가동률이 처참할정도로 20%수준이며 적자가 조단위라는점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지금도 5세대 공정인 1b공정에서 메모리 설계에서 문제가 생겨서 과거에서 보여준 발열이슈를 전혀 해결못해서 HBM이나 5세대 범용 메모리공정에서도 문제가 있는게 삼성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1c공정으로 간다는건 다소 허황되며 과연 역전할 수 있을지는 매우 확률적으로 낮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반전을 모색하는 삼성전자 역시 10나노급 6세대(1c) D램을 적용한 HBM4의 연내 양산을 목표로 잡았다고 하는데요. 삼성전자는 1c D램을 올해 하반기 양산할 6세대 HBM4에 적용할 예정이라서 가능성은 높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삼성전자가 과연 HBM4 에서 역전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이 부분은 삼성전자 외에는 답하기 어렵습니다.

    삼성전자가 기술력을 확보해서

    기술의 우위로 HBM4 에서 치고 나갈 수 있다면

    다시 예전의 위치에 오를 수 있을 것입니다.